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정보통신기술
심창섭 객원기자
2020-05-21

개는 로봇의 명령을 따를까? 휴머노이드의 음성 명령에 복종하는 경향 보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최근 소셜 로봇 개발이 증가하는 추세다. 지금까지 있었던 산업용 로봇이나 서비스 로봇과 달리, 소셜 로봇은 사람처럼 대화하고 감성적인 몸짓으로 정서적인 소통을 할 수 있다. 인공지능, 빅 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카메라에 비친 얼굴을 통해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등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소셜 로봇이 사람과 함께 사는 반려동물에겐 어떤 영향을 끼칠까. 인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로봇에 개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한 결과가 나왔다.

지난 13일 첨단매체 ‘IEEE 스펙트럼(IEEE Spectrum)’은 4월에 개최된 ‘ACM/IEEE 인간-로봇 상호작용 국제 콘퍼런스 (HRI 2020)’에서 예일 대학교 연구팀이 발표한 휴머노이드와 개의 상호작용 연구를 소개했다.

동물-로봇 상호작용 실험에 사용된 휴머노이드 '나오' ⓒ SoftBank Robotics

예일 대학교 ‘소셜 로보틱스 연구소(Social Robotics Lab)’의 브라이언 스카셀라티(Brian Scassellati)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개와 소셜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구했다. 이미 많은 반려견이 인간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소셜 로봇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동물-로봇 상호작용을 연구하면 반려동물 친화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실험에 사용한 소셜 로봇은 연구 및 교육 목적으로 개발된 휴머노이드 ‘나오(NAO)’였다. 이 로봇은 사람의 몸짓을 비슷하게 재현할 수 있고, 사물 인식과 음성 출력이 가능해서 소셜 로봇 실험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휴머노이드와 스피커를 이용한 비교 실험에서 개는 로봇의 명령에 복종하는 경향을 보였다. ⓒ ACM SIGCHI 유튜브 캡처

휴머노이드의 명령에 복종하는 경향 보여

개는 인간 사회에서 가장 흔한 반려동물이고,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영장류보다 사람의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 탁월하다. 연구팀은 이런 두 가지 이유로 개를 실험 대상으로 선택했다고 밝혔다. 2013년에는 같은 연구팀이 휴머노이드가 지시하는 방향에 개가 반응하는지 실험했지만,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전례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품종, 연령, 성별의 반려견 34마리를 대상으로 휴머노이드와 스피커를 통해 각각 명령을 내렸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폈다. 2단계로 구성된 테스트는 먼저 ‘이름’을 불러서 주의를 끌고, 다음에 ‘앉아’ 명령을 내리는 순서로 진행됐다. 들려준 음성은 컴퓨터 합성음이 아닌, 미리 녹음한 사람의 목소리였다.

소셜 로봇과 스피커를 통해 이름을 불렀을 때 개가 반응한 비율. ⓒ ACM SIGCHI

이름을 불러 주의를 끄는 테스트에서는 로봇에 훨씬 잘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무런 소리가 들리지 않았을 때 고작 10% 미만의 개가 휴머노이드를 주목했으나, 이름을 부르자 80%가량이 고개를 돌려 바라봤다

반면에 스피커의 경우에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름을 부르는 음성이 들리거나 말거나 똑같은 비율로 외면했다.

로봇과 스피커의 ‘앉아’ 명령에 복종한 비율. ⓒ ACM SIGCHI

두 번째로 휴머노이드의 ‘앉아’ 명령에 65%의 개가 주저하다가 앉았다. 처음에는 눈치를 살폈으나 곧 주인의 명령으로 인식하고 복종한 것이다.

스피커에서 ‘앉아’ 명령이 나왔을 때는 13%만 따랐다. 대부분 개는 스피커의 음성 명령에 복종하지 않았고, 심지어 훈련소에서 잘 훈련된 개조차도 따르지 않았다.

동물형 소셜 로봇은 따르지 않아

소셜 로봇은 반드시 인간 형태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개처럼 생긴 ‘아이보(Aibo)’는 사람에게 친숙한 모습과 행동으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개들에겐 아이보가 먹이 경쟁자로 인식되지 않고, 사회적으로도 상호작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간혹 신기한 장난감에 관심을 두는 정도로만 반응한다.

이번 연구로 사람처럼 생긴 소셜 로봇이 개에게 어느 정도 권위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휴머노이드를 주인의 대리인으로 본다는 뜻이다. 인간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휴머노이드에 개가 반응한 것은 앞으로 소셜 로봇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활용될지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심창섭 객원기자
chsshim@naver.com
저작권자 2020-05-21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