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이 주춤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대안으로 가상현실(VR)이 ICT업계의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VR(Virtual Reality)은 컴퓨터 등을 통해 만들어진 가상의 인공적인 세계에 사람이 실제로 들어가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25년까지 VR시장이 현재 22억불에서 899억불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VR이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글로벌 ICT기업들이 초기 생태계 선점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 가상현실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서
이에 우리 정부는 7일 ‘가상현실 산업 육성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VR콘텐츠 제작 지원을 통한 민간투자 유치, 400억 원 규모의 가상현실 전문펀드 조성, VR 투자기업들에게 세제혜택 부여 등 VR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현재 우리나라가 단말기‧솔루션‧네트워크 분야에서는 다소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플랫폼과 콘텐츠 등의 경쟁력이 미흡하다는 분석에 따라 정부가 다양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콘텐츠 제작을 유도해 민간 중심의 가상현실 신시장 창출과 확산을 돕겠다는 계획이다.
즉, 올해 VR서비스플랫폼, VR게임체험, VR테마파크, 다면상영, 교육유통 등 5개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데, 이를 내년부터는 건축, 교육, 의료 등으로 확대 추진하여 가상현실 초기 생태계 조성을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먼저 국내 문화‧한류콘텐츠는 전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방송, 영화, 게임 등과의 VR융합서비스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문화콘텐츠에 VR기술을 적용하여 VR융복합 콘텐츠 신시장 창출을 지원한다. 아울러 문화창조아카데미 등 문화창조융합벨트 중심의 멘토링, 크리에이터 교육도 확대한다.
또 국내에서 스트리밍 기술과 통신사, 하몽 등 자체 서비스 플랫폼을 추진 중이지만 아직 유통플랫폼이 미흡하기 때문에 수송‧의료 등의 분야 가상훈련시스템 공통 플랫폼을 개발, 제공하는 등 산업분야의 연구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것이다.
네트워크도 360영상 등 VR콘텐츠가 기존 대비 4~5배 이상의 트래픽을 유발하기 때문에 5G를 선도하고 있는 국내 수준으로는 VR 선점이 유리한 편이다. 따라서 5G기반의 통신사와 문화‧한류의 방송사, 디바이스기업이 협업해 평창올림픽 등의 VR영상을 구현하는 사업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 같은 연구개발 지원과 함께 비즈니스모델 창출에도 힘쓴다. VTR로 업종전환을 모색하는 기존 3D기업들을 비롯해 국내 VR기업들의 내실있는 성장을 돕기 위해 상암DMC를 VR산업 육성 거점으로 조성하고 VR신생기업의 입주를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VR기술을 이해하면서 콘텐츠 제작 역량을 갖춘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함과 동시에 VR전용 카메라세트와 VR 활영보조장치 등 VR관련 촬영‧제작‧개발장비 중계시스템과 같은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이밖에 총 400억 원 규모의 VR 전문펀드를 조성해 기술‧콘텐츠 중소벤터 기업에 투자하는 등 가상현실 분야 중소콘텐츠기업들의 시장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투자생태계를 마련하고, 신산업 육성세재 신설에 따라 R&D세액 공제에 VR기술을 포함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VR이용에 따른 인체영향이나 중독 등 부작용으로 인해 산업 활성화가 저해되지 않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VR이 적용되는 시뮬레이터, 교육훈련, 테마파크 등 VR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관련 법과 제도의 개선도 지원한다.
이로써 VR기술에 대한 외국 의존도를 극복할 뿐 아니라 수출시장 중심으로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가 “기재부, 미래부, 문체부, 산업부 등이 함께 VR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히면서 부처 간 장벽을 허물고 협업에 나서 이번 VR산업 육성 계획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 김순강 객원기자
- pureriver@hanmail.net
- 저작권자 2016-07-0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