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4-12-02

"농장·반려동물과 함께 자란 아이, 알레르기 위험 낮다" 스웨덴 연구팀 "농장·반려동물의 장내 미생물군 촉진에 의한 효과 추정"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농장에서 자라거나 반려동물과 함께 자란 어린이는 알레르기 발병 위험이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이는 유아기의 장내 미생물군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어린이와 반려견. 어린이 분변 분석 결과 농장에서 자라거나 반려동물과 함께 자라면 유익한 장내 미생물군 형성이 촉진돼 알레르기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abina Fratila, Unsplash 제공

어린이와 반려견. 어린이 분변 분석 결과 농장에서 자라거나 반려동물과 함께 자라면 유익한 장내 미생물군 형성이 촉진돼 알레르기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abina Fratila, Unsplash 제공

스웨덴 예테보리대학 안니카 융 교수팀은 30일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출생 후 농장에서 자라거나 반려동물과 함께 자란 어린이 등 65명의 장내 미생물과 3세·8세 때 알레르기 위험의 관계를 분석,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농장에서 자라는 것이 알레르기 발생을 강력하게 막아주고 이는 농장 환경이 아이들의 장내 미생물군 성숙을 촉진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반려동물도 알레르기 예방과 관련이 있지만 그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2005년 9월~2008년 3월 스웨덴 남서부 낙농 농장에서 태어난 28명과 같은 지역 농장이 아닌 가정에서 태어난 37명으로 구성된 팜플로라(FARMFLORA) 코호트를 이용해 농장과 비 농장,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장내 미생물군을 비교하고 3세와 8세 때 알레르기 유무를 조사했다. 전체 어린이 중 농장에서 자란 사람은 28명,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는 40명이었고, 생후 3일에서 18개월 사이에 대변 검사로 장내 미생물군을 검사했다.

분석 결과 농장에서 자란 어린이는 비 농장 가정에서 자란 경우보다 생후 첫 주에 유익균 비율이 높고 대장균(Escherichia coli) 개체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후 12개월에는 설사를 일으키는 균 중 하나인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리(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이 더 빈번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생후 첫 달 장내에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과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 같은 유익한 유산균과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등 공생균이 서식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연구 기간에 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어린이는 3세 때 63명 중 11명(17%), 8세 때 48명 중 10명(21%)이었다.

연구팀은 반려동물을 키울 경우 나타나는 생후 1주일 장내 유익균 비율 증가, 4~12개월 비피도박테리움·락토바실루스·박테로이데스 서식, 생후 12개월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리 감소 등은 모두 3세·8세 때 알레르기 진단 감소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연구 결과는 농장에서 자라거나 반려동물과 함께 자라는 어린이의 알레르기 발생률이 낮고 그 원인이 유익한 장내 미생물군 형성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더 명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PLOS ONE, Annika Ljung et al., 'Gut microbiota markers in early childhood are linked to farm living, pets in household and allergy',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313078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12-02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