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09-30 ⓒ ScienceTimes 태그(Tag) #간헐적단식 #공복 #다이어트 #비만 #식사시간제한요법 #신체변화 #연구정보중앙센터 #지방감소 #체중감소 #혈압조절 관련기사 똑똑한 ‘간헐적 단식’, 건강과 다이어트에 효과적 새해 목표로 건강한 다이어트를 계획하고 있다면 ‘시간’을 조절해 보는 건 어떨까? 스페인 그라나다대학교 국립 당뇨병 및 소화기질환연구소 연구팀이 간헐적 단식이 체중을 줄이고 심장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비만 2025년 주목할 과학 이슈 미리보기 ▲ ‘기적의 비만치료제’로 불린 위고비를 이을 새로운 혁신적 비만 치료제가 올해 승인될 전망이다. Ⓒ노보노디스크 2025년이 시작됐다. 올해도 과학계에서는 많은 ‘혁신’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2025년 주목해야 할 과학 "간헐적 단식, 생쥐 털 성장 억제…사람 모발에도 유사 효과" 간헐적 단식이 신진대사 건강에는 좋지만 생쥐 실험에서는 털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대상 소규모 임상시험에서도 생쥐에서보다는 약하지만 모발 성장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간헐적 단식이 생쥐 털 성장에 미치는 영향 실험. 털을 깎은 생쥐를 세 그룹으로 나눠 실시한 실험에서 제한 없이 먹이를 먹을 수 있는 대조군(AL)은 30일 ‘요요’가 오는 과학적 이유 ▲ 식욕을 참아가며 다이어트를 성공한 후 자꾸 요요가 발생하는 과학적 이유가 밝혀졌다. ⒸGettyImages 한 해가 끝나간다. 신년에 세웠던 목표 달성 여부를 점검할 때다. ‘다이어트’에 실패한 사람이 있다면 핑계인 동시에 어쩌면 참담한 현실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 연구진은 우 "주거지 주변에 녹지 요소 많을수록 청소년기 비만 적어" 거주지 주변에 녹지공간이 많고 거리에 꽃·식물 등 녹지 구성 요소가 많을수록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도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버려진 철도가 공원으로 변신한 미국 뉴욕 하이라인 파크.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하버드대 의대 리 위 박사팀은 6일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기적의 비만치료제’ 이제 주사 아닌 알약으로 연구진은 소화관 내 여러 부분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캡슐 형태의 약물 전달 시스템을 새롭게 개발했다. ⒸNature ‘기적의 비만약’으로 불리는 ‘위고비’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체중 감량을 위해 주 1회씩 한 달에 4번 주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주사 없이도 기적의 비만치료제 효과를 볼 "메뉴에 칼로리 표시하면 열량 섭취 줄까…결과는 '아니오'" 식당 메뉴에 열량(칼로리)을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하면 열량 섭취가 줄어들까? 영국에서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열량 표시가 칼로리 섭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 메뉴 열량 표시 의무화(CG).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TV 제공 영국 리버풀대 메건 폴든 박사팀은 26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지방세포에 '비만 기억' 저장된다…요요현상 원인 추정" 비만 당시 지방세포에 발생하는 전사 및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체중 감량 후 그대로 '비만 기억'으로 남아 체중이 다시 빠르게 증가하는 '요-요 현상'(yo-yo effect)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인 비만 ⓒ연합뉴스 TV제공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Zurich) 페르디난드 폰 메 체중감량을 위한 마법의 약물? 체중감량을 위한 마법의 약물? 덴마크 바그베드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는 주사형 약물 ‘위고비(Wegovy)’와 ‘오젬픽(Ozempic)’을 제조 및 판매한다. 위고비와 오젬픽은 2017년에 승인된 약물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를 주요 성분으로 한다. 위고비는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12세 이상 어린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자외선 샤워’ ▲ 때 이른 여름 더위가 찾아옴에 따라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품, 모자, 옷 등 아이템의 수요도 함께 빨라졌다. 자외선은 피부를 지치게 하는 건 맞지만, 의외의 장점도 있다. 바로 체중 증가를 막아준다는 것이다. ⓒGettyImages 때 이른 더위가 찾아왔다. 낮에는 뜨거운 햇볕에 자외선 지수도 훌쩍 높아졌다. 보통 자외선은 ‘미(美)의 적’으로 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중국에서 확산 중인 새로운 호흡기 질환 AI, 위스키의 향을 해독하다... "전문가보다 정확한 판별력 입증" 기후변화가 대형 산불 위험을 키운다? 미국 전역 노로바이러스 확산... "초기 증상 나타나면 즉시 격리해야" 한국,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 참여 속보 뉴스 '민간주도' 누리호 4차 발사…'뉴 스페이스' 신호탄 쏜다 UNIST "북극 해빙 변화 1년 뒤까지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꿀벌부채명나방서 플라스틱 분해 효소 배양 성공 실내 곰팡이 독소가 반려견 아토피 피부염 악화시킨다 부산대 연구팀 "AI로 비정형 파킨슨 증후군 진단…정확도 94%"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X 염색체 유전자 변이 발견" "부모 간 폭력 목격한 아이, 장년기 심혈관 질환 위험 36%↑"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