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편집위원
2009-10-08

과학도시 보스턴의 ‘선순환 생태계’ 끊임없는 진화로 미국 첨단 산업발전 견인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보스턴(Boston)은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주도다. 뉴잉글랜드 지방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뉴잉글랜드의 수도’란 비공식적인 별칭을 갖고 있다. 인구는 2007년 기준 60만8천352명. 그러나 보스턴권(Greater Boston)의 인구는 441만1천835명으로 미국에서 10번째로 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영국의 청교도가 세운 도시인 보스턴은 1773년 미국 독립운동의 발단이 된 ‘보스턴 차 사건’, 최근 들어서는 대표적인 프로야구팀 ‘보스턴 레드삭스’ 등을 통해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 도시가 미국 북동부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첨단 과학기술 연구단지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최근 보스턴을 다녀온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신성장동력센터 하태정 부연구위원은 보스턴 도심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128도로(Boston Route 128)’를 따라 형성돼 있는 첨단 산업단지가 2000년 들어 미국 동부 첨단 과학기술 기반의 중심으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보스턴의 강점인 하버드, MIT, 보스턴 대학 등 우수한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제록스(Xerox), 3M, 코닥(Kodak), BASF 등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 그리고 벤처기업들을 육성하고 있는 대형 벤처 캐피털 등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도시 경제를 활성화하고, 또한 미국 첨단 과학기술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공동 집단학습과정’

하태정 박사는 보스턴이 의료, 교육 및 연구개발 등의 분야에서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 결과 보스턴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의료 및 제약 관련 연구비 수혜를 가장 많이 받는 등 연구개발 투자가 집중적으로 몰리고 있다는 것.

보스턴에 있어 주목해야 할 점은 끊임없이 진화해가는 혁신역량이다. 미국 서부의 실로콘밸리, 스웨덴의 시스타, 핀란드의 울루, 프랑스의 소피아앙티폴리스, 대만의 신죽단지 등 세계적인 과학도시와는 달리 보스턴은 끊임없이 진화해가는 학습역량을 갖추고 있다.

세계적인 대학과 거기서 배출되는 우수한 인력, 그리고 그들이 일하는 연구기관과 첨단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계돼, 외부 환경 및 수요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공동의 집단학습과정(collective learning process)'이 보스턴을 차별화된 과학도시로 변모시키고 있다.

보스턴 외곽의 이른바 ‘루트 128’은 보스톤 광역권을 구성하고 있는 에섹스(Exxex), 미들섹스(Middllesex), 노폭(Norfolk), 서퍼크(Suffolk) 등 4개 지역을 통과하는 도심 외곽 순환도로를 따라 형성된 첨단 산업단지를 말한다.

초창기 ‘루트 128’은 하버드와 MIT 등이 위치하고 있는 이 지역에 미국 정부가 막대한 국방관련 연구비를 투입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대학 연구실에서 첨단 기술 연구가 활발해지자 보스턴 지역의 혁신적인 기업들이 덕을 보게 됐다.

훗날 대표적인 군수업체로 성장한 레이시온(Raytheon), 디지털 장비업체인 DEC 등이 MIT 연구실로부터 창업이 이루어졌으며, 하버드 연구실로부터는 컴퓨터업체인 왕 연구소(Wang Laboratories)가 탄생했다.

폐쇄적 산업구조로 수차례 위기 국면

1950~60년대에 MIT 연구실로부터 창업한 기업 수만 156개에 달했다. 앞서 창업에 성공한 레이시온, DEC 등을 통해 민간 기업 재 창업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 보스턴 지역은 경기침체와 구조변화를 겪게 된다.

섬유, 피혁 등 제조업 부분에서 대폭의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베트남전 종결을 선언한 연방정부가 국방관련 지출을 대폭 삭감했기 때문이다. 당시 보스턴 지역은 심각한 실업난에 허덕였는데, 이로 인해 보스턴이 속한 매사추세트주는 미국서 가장 실업률이 높은 주로 기록됐다.

그러나 1970년대 말 레이건 행정부는 다시 국방예산을 확대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보스턴 ‘루트 128’ 인근에 있는 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던 미니컴퓨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신규 기업 창업이 이어졌다. 그 결과 1980년대 말까지 컴퓨터, 통신장비, 전자부품, 항공기부품 등의 관련 산업 성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 냉전종식에 따른 국방예산의 대폭적인 축소로 다시 한 번 위기를 맞게 된다.

더구나 보스턴 지역의 주력산업 중의 하나인 미니컴퓨터 시장이 실리콘밸리가 주도한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개방형 PC로 대체되면서, 수직통합적이고, 폐쇄적인 산업구조를 갖고 있는 보스턴 지역 제조업 경쟁력이 급속히 악화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우주항공부품, 유도탄 등의 국방관련 제조업에서의 실업까지 포함하면, 이 기간 중에 보스턴 지역에서는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제조업에서만 약 5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

그러나 ‘루트 128’은 2000년대 들어 또다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과거 보스턴의 첨단과학기술산업을 이끌었던 군수산업과 미니컴퓨터산업을 통해 형성됐던 수직통합적이고 폐쇄적인 산업구조를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산업구조로 바꾼 결과였다.

수평적인 구조로 산·학·연 협력구조 개편

그 결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IT서비스, 제약 및 의료서비스 등 첨단과학기술 산업을 중심으로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산업구조로 전환됐다. 보스턴의 강점인 교육환경과 보스톤 지역에 거점을 두고 있는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 벤처 캐피털 간의 수평적이면서 긴밀한 협력이 위력을 발휘하게 된다.

현재 보스턴 지역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업은 IT, BT, 금융, 보험, 부동산 등이며, 서비스 산업 중에는 의료서비스와 전문 비즈니스 서비스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하버드, MIT 등에서 쏟아져 나오는 인재들과 창의적인 기업문화, 그리고 이와 결합된 비즈니스, 금융 등의 선순환 생태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 박사는 말했다.

보스턴의 1인당 소득수준은 198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미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그 차이가 더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는 보스턴의 산업구조가 대부분 고부가가치 산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보스턴의 ‘루트 128’은 미국 서부지역의 실리콘밸리와 함께 미국의 산업을 견인하는 대표적인 첨단과학기술 단지로 인정받고 있다.

하태정 박사는 현재 국내에서 추진 중인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기초과학연구원 등의 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기업, 대학, 정부가 긴밀한 공조를 통해 원천기술 확보, 우수 인력 양성, 첨단 과학기술기반산업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과학비즈니스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강봉 편집위원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09-10-08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