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개발한 움직이는 항구인 '모바일하버'가 중남미 미국 자치령인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에서 첫선을 보일 전망이다.
KAIST(총장 서남표)는 지난달 31일 푸에르토리코 최대 무역항인 폰세(Ponce)항의 항만운영권사인 UCW가 모바일하버에 대한 구매 의향서(LOI)를 접수했다고 6일 밝혔다.
UCW사가 구매의사를 밝힌 모바일하버 A1-1200 타입은 1천2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모바일하버다.
양 기관은 또 4천400TEU급 이하의 컨테이너 화물선을 처리할 수 있는 A1-600 타입도 추가로 개발해 발주키로 합의했다.
A1-1200 타입은 1만TEU급 컨테이너 화물선을 이틀내에 전부 하역운송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A1-600 타입은 5천TEU급 컨테이너 화물선의 하역작업을 하루내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KAIST와 UCW사는 이달 말까지 추가협의를 거쳐 정식계약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항만의 기능을 가진 배가 다가가서 화물을 처리하자'는 KAIST 서남표 총장의 착안에서 시작된 모바일하버는 바다위를 떠다니는 항구가 선박으로 이동해 컨테이너선이 항구에 들어오지 않고도 하역한 후 떠나는 개념으로 KAIST가 정부지원을 받아 원천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신성장 동력 스마트 프로젝트'사업 가운데 하나다.
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와 기계공학과 연구진들이 모바일하버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푸에르토리코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도 연구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푸에르토리코는 모바일하버를 조기도입해 폰세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을 배가시킨 후 파나마운하가 확장되는 2014년 이후 폰세항을 중남미 카리브해의 허브(HUB)항으로 개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KAIST 관계자는 "파나마운하 확장공사가 끝나는 2014년이면 미국 동부지역과 중남미 지역은 향후 약 70~80% 이상의 물동량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에 모바일하버의 최적 수요처로 꼽힌다"며 "인천과 군산 등 국내는 물론 동남아, 이라크 복구 플랜트 사업 발주로 많은 무역 물동량이 예상되는 중동, 항만 인프라가 취약한 아프리카의 항만관계자 및 해운회사와의 협의를 통해 마케팅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대전=연합뉴스 제공) 김준호 기자
- kjunho@yna.co.kr
- 저작권자 2009-08-0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