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각에 주로 의존해왔던 악취 측정에도 표준이 도입돼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기환경표준센터 허귀석 박사팀은 19일 악취측정용 인증표준 물질과 측정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현재 악취 측정은 후각에 의존하는 `공기희석식관능법'과 악취 원인물질에 대한 `농도측정법'이 함께 사용되는 데, 공기희석식관능법은 측정지역의 조건과 판정요원의 판단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농도측정법의 경우도 극미량의 농도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데다 화학적 안정성도 낮아 시료 채취와 분석이 쉽지않다.
표준연 허 박사팀은 이번에 악취를 비교 판단할 수 있는 표준물질과 시료 채취를 위한 흡인펌프 속도, 시료채취 시간, 온도, 압력, 기기 등 측정분석 방법 등을 개발, 악취 측정분석 결과가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전국 30여개 악취 측정기관을 대상으로 측정능력과 현황 등을 파악, 문제점을 찾아낸 뒤 표준 개발에 나섰다.
표준연 허귀석 박사는 "측정기관의 숙련도 시험결과, 기관들간 기준값이 큰 오차를 보이는 등 객관적인 악취 측정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며 "악취측정 기관에 지속적으로 표준물질과 표준화된 측정방법 등을 보급해 측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대전=연합뉴스 제공) 윤석이 기자
- seokyee@yna.co.kr
- 저작권자 2009-02-2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