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홍성철 교수(물리천문학부) 연구팀은 나노미터(㎚ㆍ10억분의 1미터) 단위의 작은 생체분자 운동을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생체분자 연구 분야에서 난제로 여겨지던 광학집게 기술과 단일분자 프렛 기술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이는 생체분자들이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직전의 `전이상태'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다.
광학집게 기술은 레이저를 이용해 개별 생체분자에 물리력을 가할 수 있는 방법이고 단일분자 프렛 기술은 형광 분자를 다른 분자에 붙여 여기서 나오는 빛을 이용해 분자 운동을 관찰하는 기법이다.
연구팀은 이 두 기술을 결합해 디옥시리보핵산(DNA) 구조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이중나선구조가 아니라 십자가 모양으로 교차하는 `Holiday Junction' 분자구조의 전이상태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홍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로 생체분자들이 물리적 환경에 어떻게 반응하고 세포 내 화학반응을 조절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이용하는 등 응용할 수 있는 분야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의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지에 실렸다.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zheng@yna.co.kr
- 저작권자 2007-10-1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