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내에 개성공단을 통관하는 각종 물자와 방문자의 통행증에 전자태그가 부착돼 자동 관리됨에 따라 현재 약 3시간 정도 걸리던 것이 30분으로 단축돼 이동속도가 6배 가량 빨라지게 된다.
정보통신부는 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환경부, 국방부, 해수부, 통일부 등 4개 부처와 공동으로 RFID 본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국내 RFID의 본격 도입에 첫발을 내딛었다.
올해 추진되는 과제는 성공 가능성과 도입 필요성이 높은 과제들로서 RFID 기반의 감염성폐기물 관리시스템 확산 구축(환경부), RFID를 활용한 u-국방탄약관리 확산사업(국방부), RFID 기반 항만물류 효율화 사업(해수부), RFID 기반기술을 이용한 개성공단 통행 및 통관 시스템 및 물류 기반 구축(통일부) 등이다.
이들 과제들은 정통부가 ‘04년부터 추진한 RFID 시범사업 중 우수 과제들로서, 향후 본격 확산 시 공공 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관련 산업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RFID 기반의 감염성폐기물 관리시스템 확산 구축’ 사업은 주사바늘, 붕대, 고름 등 감염성이 높은 의료 폐기물의 처리용기에 RFID 태그를 부착·관리함으로써, 처리 과정이 유리알처럼 투명해져 불법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완벽하게 근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FID를 활용한 u-국방탄약관리 확산사업’은 현재의 낙후된 탄약 관리 체계를, 실시간 재고관리에 의한 실소요 부대 중심의 적시 보급 체계로 개선해 우리 군의 전시 작전수행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RFID 기반 항만물류 효율화 사업’은 부산항의 컨테이너 출입 상황 및 위치를 실시간 파악함으로써 부산항의 컨테이너 처리 능력을 대폭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되어 동북아 항만간 경쟁이 격화되는 현 상황을 비춰볼 때 매우 시의적절한 과제로 평가된다.
이 밖에 개성공단 통행·통관 관리 사업의 경우 개성공단 방문 절차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공단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은 국내 RFID 산업계의 경쟁력 향상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RFID 시장은 최근 2~3년간 꾸준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국내 RFID 도입은 시범 적용 수준에 머물러 있어 본격 확산을 위한 계기가 필요했던 상황이다.
이번 공공분야 과제들은 사업 규모가 클뿐만 아니라 태그 부착 의무화 등 제도화를 통해 관련 분야의 RFID 도입을 촉진할 전망으로 국내 RFID 관련 업계의 수혜가 예상되며 유사 민간 분야에도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box1@ |
- 박지환 기자 daebak@heraldm.com
- 저작권자 2006-06-1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