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7-30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공포 기억 계속되는 이유 찾았다 기초과학연 "별세포 유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기억 소멸 방해"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PTSD에서 별세포 GABA 조절 메커니즘 및 신약 KDS2010의 치료 효과 ⓒIBS 제공
PTSD에서 별세포 GABA 조절 메커니즘 및 신약 KDS2010의 치료 효과 ⓒIBS 제공

사라지지 않는 공포의 기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소방관이나 참전 군인처럼 재난·폭력·전쟁 등 극심한 외상에 노출된 사람들은 그 두려운 기억을 잊지 못하고 심각한 불안과 고통을 호소하곤 한다.

일반적으로 공포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희미해지지만, PTSD 환자에게는 '시간이 약'이라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이 이화여대 뇌융합과학연구원 류인균 석좌교수팀과 함께 공포 기억이 사라지지 않는 PTSD의 병리 구조를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뇌 속 비신경세포인 '별세포'(Astrocyte)가 만드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를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제시했다.

현재 PTSD 치료제 대부분은 세로토닌 수용체를 조절하는 항우울제가 사용된다. 하지만 효과를 보이는 환자는 20∼30%에 불과하고, 치료 반응 속도도 매우 느리다.

연구진은 PTSD 환자, 외상 경험자, 일반인 등 380여명의 대규모 뇌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PTSD 환자의 전전두엽(감정조절·사회적 행동 등 고차원적 인지 기능을 담당)의 가바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뇌 혈류량이 감소한 것을 발견했다.

이런 변화는 PTSD 증상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증상이 회복된 환자는 가바 농도와 뇌 혈류량이 모두 정상화됐다.

연구진은 임상 뇌 영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PTSD에서 나타나는 전전두엽 기능 저하가 별세포에 의한 가바의 과도한 축적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PTSD 환자의 사후 전전두엽 뇌 조직을 분석한 결과, 별세포에서 가바 생성에 관여하는 마오비(MAOB)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뇌 조직 내 반응성 별세포가 확장되는 것을 확인했다.

동시에 가바 분해 효소(ABAT) 발현이 감소하면서 가바가 과잉 생성·축적되는 병리적 변화가 나타났다.

별세포의 마오비 활성을 증가시킨 PTSD 동물실험 모델은 공포 반응이 장기간 지속하고 공포 기억을 감소시키는 뇌의 회복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마오비 활성을 억제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자, 이러한 반응이 완화됐다.

연구진은 마오비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신약 후보 물질 'KDS2010'을 PTSD 동물모델에 투여해 효과를 확인했다.

그 결과, 별세포 가바 농도와 뇌 혈류량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고,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뇌 기능이 회복돼 불안 행동 증상이 완화됐다.

이 신약후보 물질은 안전성 검증을 마치고 현재 임상 2상 시험 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에 28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7-30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