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역사상 가장 큰 어류인 메갈로돈(Otodus megalodon)이 고래 같은 해양 포유류를 주로 먹었다는 통설과 달리 하위 먹이사슬의 다양한 어류까지 잡아먹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린츠 성 박물관의 고대 거대 상어 메갈로돈 모형 ⓒOÖ Landes-Kultur GmbH 제공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 제러미 매코맥 박사팀은 27일 과학 저널 지구·행성 과학 회보(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에서 메갈로돈 이빨의 아연 동위원소를 분석해 이들의 먹이를 재구성,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28 ⓒ ScienceTimes 태그(Tag) #고생물 #고생태학 #메갈로돈 #상어 #이빨화석 관련기사 상어는 억울하다?…"상어 공격은 자기방어 행동일 가능성 커" 상어가 사람을 해치는 바다의 맹수로 인식되는 것과 달리 상어가 사람을 무는 사고 중 상당수는 계획된 공격이 아니라 생존 본능에 의한 자기방어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음 기준에 해당할 경우 상어의 공격은 자기방어 동기에 따른 것일 수 있다. 1. 인간의 공격이 상어의 반응을 유발한 경우, 2. 치명적인 큰 상처가 아닌 표면적 상 "브라질서 1억1천300만년 전 살았던 지옥개미 화석 발견" 브라질에서 1억1천300만년 전에 살았던 일명 '지옥개미'(hell ants : Haidomyrmecinae)의 화석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백악기에만 존재했던 가장 초기 개미인 지옥개미가 브라질에서 발견된 것은 개미가 알려진 것보다 더 일찍 진화해 세계로 확산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1억1천300만년 전 브라질에 살았던 지옥개미 메가로돈은 생각보다 ‘덜 메가’ 했다 ▲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추정한 메가로돈의 모습은 백상아리처럼 통통했다. 하지만 새로운 연구는 기존 정설과 달리 메가로돈이 날씬하고 긴 체형을 가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Alex Boersman/PNAS 360만 년 전에 멸종한 거대 상어인 ‘메가로돈’은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최상위 포식자로 알려졌다. 2023년 개봉한 영화 ‘메가로돈2(Meg2 아기상어가 위험해! 해양 포식자인 상어가 멸종 위기에 놓였다. 전 세계적으로 어업에 의한 상어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GettyImages 상어는 4억 년 이상 강력한 해양 포식자로 살아왔다. 다섯 차례의 멸종 위기를 이겨냈다. 그런데 이 고대의 계통은 스스로 ‘최상위 포식자’로 칭하는 인간의 상업적 어업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였다. 국제 공동 연구진이 20 상어가 해안가로 접근하고 있다? 상어가 해안가로 접근하고 있다? 전 세계 북반구에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해안가로 휴가를 떠나고 있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 해안가에서의 안전사고는 매년 조심해야 할 사항이지만, 최근 뉴욕의 롱 아일랜드와 매사추세츠 반도 부근 등 미국 북동부를 중심으로 때아닌 상어가 출몰하며 상어로 인한 해안가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플로리다 대 상어 90%가 사라진 대멸종 처음 드러나 대략 1900만 년 전에 상어들이 대량으로 멸종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어 대멸종 사건은 오늘날보다 10배 이상 많은 상어가 세계의 바다를 돌아다니던 시기에 일어났다. 이 놀라운 상어 멸종 사건의 원인에 대해서 과학자들은 아직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6월 3일 사이언스(Science) 저널에 2개의 논문으로 발표된 이번 연구 결과에 예일대 생물학연 고대 상어의 멸종 이유가 느린 성장 속도 탓? 상어는 4억 년 전부터 바다를 지배해온 최상위 포식자다. 흔히 상어라고 하면 날카로운 톱날 이빨로 사람을 공격하는 위험한 생물로 여기지만, 실제로 사람을 해치는 종류는 상어류 전체의 10% 정도인 20~30종 내외에 불과하다. 가장 위협적인 상어로는 최대 몸길이가 6.5m나 되는 백상아리가 있다. 약 1억 년 전 백악기 바다에서 번성했던 ‘프티코두스( 4억 년 만에 위기 맞이한 상어 상어는 4억 년 이상 바다를 지배해 왔다. 4억 년 전이라면 육지에 나무가 처음 등장하기 전이며, 척추동물이 육지로 올라오기도 전인 까마득한 세월이다. 그동안 다섯 차례의 대멸종 위기가 있었지만 상어는 모두 무사히 넘겼다. 그런데 머지않은 미래에 상어의 수영 및 사냥 능력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바다에서 가장 무서운 포식자 왜 오른손잡이 상어만 태어났을까 요즘 우리나라 고교 야구계에서는 한 팀의 9명 타자 중 오른손보다 왼손 타자가 훨씬 더 많은 ‘생태계 불균형’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왼손 타자가 조금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왼쪽 타석에 들어서게 되면 오른쪽 타석보다 1루에 조금 더 빨리 도달할 수 있어 단타를 치고도 세이프 될 확률이 더 높아진다. 또한 왼손 타자는 왼손 투수에겐 약하지만 '환경 DNA'로 상어 출몰 예상 바다의 최고 포식자 상어는 해수욕객이나 서퍼들에게 공포의 대상이다.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점차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연안에도 상어 출현이 잦아졌다.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상어가 사람에게 관심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상어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거나 자극하는 행위는 금물이다. 몸에 상처가 났을 때는 바다에 들어가지 말고, 물 속에서 불필요한 소음을 내지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눈을 치료하는 윤부줄기세포 온난화로 바닐라향도 위기…"바닐라 식물-곤충 서식지 달라져" "사슬 구조 물질 내 스핀·전하 분리 현상 관측" "외로움은 정신적·신체적 건강 악화 요인…정기 검사 필요"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속보 뉴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같은 온도 유지…에너지자립 온실을 가다 암 연관 'ATM 유전자' 변이 2만7천여개 분석…"정밀의료 기대" 하이드로겔 이용해 인간의 뇌 닮은 신경세포 플랫폼 개발 '유전자·세포 도핑' 피 한방울로 찾는다…차세대 분석기술 개발 세계 최대 단백질 데이터세트 공개…노화·치매 생체표지 발굴 "세상을 경쟁 정글로 보는 사람에겐 비열한 리더가 똑똑해 보여"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