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5-07

"산불 연기 조심해야…노출된 노인층, 호흡기 질환 입원 증가" 美 연구팀 "연기 속 PM2.5 노출-호흡기 질환 입원 증가 연관성 확인"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국내에서 대형 산불이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 서부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높은 산불 연기에 노출되면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노인층 입원이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산불 연기 초미세먼지(PM2.5) 농도와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율 변화. 산불 연기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25㎍/㎥ 이상으로 높아지면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M2.5 농도가 0에서 40㎍/㎥로 증가할 때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은 인구 10만명당 하루 평균 약 2.4명 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JAMA Network Open / Rachel C. Nethery et al. 제공

산불 연기 초미세먼지(PM2.5) 농도와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율 변화. 산불 연기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25㎍/㎥ 이상으로 높아지면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M2.5 농도가 0에서 40㎍/㎥로 증가할 때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은 인구 10만명당 하루 평균 약 2.4명 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JAMA Network Open / Rachel C. Nethery et al. 제공

미국 하버드대 T.H.찬 공중보건대학원 레이철 C. 네서리 박사팀은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미국 서부 지역 노인 1천여만명에 대한 산불 연기 PM2.5 노출과 질환별 입원 관계 분석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노인층이 PM2.5 농도가 높은 산불 연기에 노출되면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산불 연기가 노인층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서부 지역의 노인의료보험(Medicare) 수혜자 1천36만9천361명(평균 연령 74.7세)을 대상으로 산불 연기로 인한 대기오염에 단기적으로 노출된 것이 특정 질환 입원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했다.

연구 기간 캘리포니아·애리조나·네바다·오리건·유타 등 서부 지역의 메디케어 입원 청구 데이터를 산불 연기로 인한 각 지역의 PM2.5 농도와 연결, 다양한 질환에 따른 입원율과 연관성을 평가했다.

2006~2016년 미국 서부지역 카운티 및 연도별 산불 연기 초미세먼지(PM2.5) 농도 ⓒJAMA Network Open / Rachel C. Nethery et al. 제공

2006~2016년 미국 서부지역 카운티 및 연도별 산불 연기 초미세먼지(PM2.5) 농도 ⓒJAMA Network Open / Rachel C. Nethery et al. 제공

분석 결과 PM2.5 농도가 25㎍/㎥ 이하로 낮은 상태에서는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입원에 별다른 변화가 없으나, 농도가 25㎍/㎥ 이상으로 높아지면 입원이 증가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기 속 PM2.5 농도가 0에서 40㎍/㎥로 증가할 때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은 인구 10만명당 하루 평균 약 2.4명 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 조건에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입원도 인구 10만명당 하루 펑균 2.61명 늘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었으며, 소화기계 질환 등 다른 질환에서는 PM2.5와 입원 사이에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산불 연기 속 PM2.5 노출과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노인층의 입원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산불 연기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JAMA Network Open, RachelC.Nethery et al., 'Wildfire Smoke Exposure and Cause-Specific Hospitalization in Older Adults',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10.1001/jamanetworkopen.2025.6739?guestAccessKey=f1740c46-da9b-4e81-bba8-5260e247be43&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content=tfl&utm_term=043025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07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