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 구조돼 대학의 해양동물 실험실에서 자란 캘리포니아 바다사자(Zalophus californianus)가 리듬감을 익히고 박자를 맞추는 실험에서 사람보다 더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람보다 뛰어난 리듬감을 가진 바다사자 '로난' ⓒColleen Reichmuth. NMFS 23554 제공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07 ⓒ ScienceTimes 태그(Tag) #리듬감 #리듬신호 #바다사자 #박자 관련기사 ‘리듬의 달인’ 바다사자, 춤꾼 된 비결은? 수많은 동물이 소리에 반응해 행동하지만 인간처럼 음악의 박자에 맞춰 자발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능력은 매우 예외적인 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일정한 리듬을 인지하고 이에 맞춰 움직임을 조절하는 ‘감각 운동 동기화’는 단순한 청각 반응이 아니라 시간 지각, 운동 제어, 예측 처리 등 복합적인 뇌 기능의 결과로 간주돼 왔기 때문이다.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머리카락으로... 치약을 만든다고? 나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생태계? 1살 우리아기, 밥을 안먹어도 너무 안먹어요 [광복절 특집] 변하는 과학관, 과학문화의 미래를 열다 [광복절 특집] 대한의 여성과학자 만세 극지연구소 "북극에 온난화 늦추는 자연 복원력 확인"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기존 결정크기 1만배' 고품질 흑연 합성…"강도·전도성 우수" 반도체공장서 가스누출 시 0.5초 내 감지…초음파 감지기 나와 속보 뉴스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스핀 손실'의 반전…차세대 정보소자 전력 절감 길 열다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