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한소정 객원기자
2021-10-26

쓰레기통을 연 시드니의 앵무새들 동물들의 문화와 배움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위키커먼스

20세기 초 영국 도시에서 종이 마개로 막은 우유병에 우유를 배달하던 시절에, 박새들이 마개를 쪼아 열고 그 안의 우유 위로 생긴 지방질의 크림을 먹기 시작한 일은 지금도 가끔 회자된다. 박새들 중 하나가 이 같은 기술을 터득한 뒤, 박새들은 서로 이를 배워 금방 영국 전역으로 기술을 전파했다. 때문에, 우유 회사들은 우유병 뚜껑을 알루미늄으로 바꿔야 했다.

동물들의 문화 현상과 사회적 배움

이는 동물들 사이에서 ‘혁신적인 행동’이 등장하고, 이것이 무리 사이에 퍼지는 ‘문화 현상’의 예이기도 하고, 도시에 사는 동물들이 인간 문화를 적응적으로 이용하는 현상의 예이기도 하다. 이때, 혁신적인 행동이란 어떤 집단 내에서 이전에 보지 못했던, 혹은 이전의 경우와 조금 달라진 먹이를 얻거나 환경에 적응하는 것과 같은 행동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이 개인에게서 개인으로 ‘사회적 배움(social learning)’을 통해 전달되면서 집단 내에서 전파되는 현상은 ‘문화 현상’으로 정의된다.

최근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은 '큰유황앵무' (sulphur-crested cockatoo)가 도시에 적응한 문화 현상의 또 다른 예에 대해 보고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호주의 시드니에 서식하는 이 새들 사이에서 뚜껑이 덮인 커다란 쓰레기통의 뚜껑을 열어 안을 뒤지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 같은 행동이 집단 내에서 서서히 번져가고 있다.

시드니에 사는 앵무새들 쓰레기통을 열다

큰유황앵무는 호주 동부에 서식하는 새로 최근 시드니를 비롯해 호주의 여러 도시에서 개체 수를 증가하고 있다. 이 새들이 도시 곳곳에 있는 플라스틱으로 된 커다란 가정용 쓰레기통의 뚜껑을 열고 먹을 것을 찾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연구진은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시드니의 주민들이 앵무새들이 쓰레기통을 여는 행동을 본 적이 있는지, 있다면 언제 어디에서 봤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모았다. 총 1,396개의 보고가 모였는데, 478개의 지역의 1,322명의 주민들이 답을 했다.

연구진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을 구간별로 나누고, 지역들을 지리학적 거리를 고려한 공간 네트워크로서 분석했다. 쓰레기통을 여는 앵무새의 행동이 사회적 배움을 통해 전파된다면 이것이 시간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 그 주변 지역으로 퍼져가는 양상을 보일 것을 가정했다.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구진은 앵무새들이 쓰레기통을 여는 행동을 94% 확률로 사회적 배움을 통해 배우는 것으로 보고했다. 2018년에는 시드니의 북쪽 지역에서 쓰레기통을 여는 새로운 행동이 독립적으로 관찰되기 시작하기도 했는데, 이후 마찬가지로 주변 지역으로 배움을 통해 행동이 전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도 덧붙였다.

©위키커먼스

몸무게가 무겁고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성공률 높아

또한, 연구진은 한 지역을 특정해 90% 이상의 앵무새들에 표식을 하고 성별, 연령, 몸무게, 사회적 지위, 관계 등을 기록하고 관찰하기도 했다. 총 114마리의 새들 중에서 쓰레기통 열기를 성공한 새가 9마리,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새가 27마리였다. 성공한 새들은 수컷인 경우가 많았고, 사회적 지위가 높은 편이었다고 보고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몸무게가 무거울수록 성공률이 높은 경향도 보였는데, 연구진은 이를 큰유황앵무 수컷들이 암컷들보다 무게가 무겁고 사회적 지위가 높은 특성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 동물 집단 내에 혁신적으로 등장한 행동이 전파되는 것을 시간과 공간을 따라 추적하는 것을 보였을 뿐 아니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유사한 행동이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전통적 방법론이 사용되었다고 강조한다. 대개 야생의 동물들에게서 이 같은 문화 현상이 나타나고 전파되는 것을 관찰하기 쉽지 않은데, 관찰이 더 용이한 도시에서 발생한 행동인 만큼 기존의 연구 방식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쓰레기통을 열고 먹을 것을 찾아내는 앵무새의 행동은 인간 문화에 대해 도시 동물들이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인간 문화와 활동이 전 지구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 시대에 앞으로 다양한 동물 종들에게서 어떤 다른 반응들을 관찰하게 될지 더욱 궁금해진다.

한소정 객원기자
sojungapril8@gmail.com
저작권자 2021-10-26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