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어려운 경제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원장 최영락)이 30일부터 이틀간의 일정으로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을 서울에서 열었다.
STEPI는 국가의 혁신을 높은 수준에서 이룩하기 위해서는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상호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을 열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행사에는 총 40여명이 참가했는데, 중국, 인도, 미국, 호주, 일본, 알제리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과학기술정책 전문가들이 초빙되어 각국의 상황이나 글로벌 시대의 혁신 전략과 같은 주제로 의견을 교환했다.
최영락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오늘날의 지식기반경제에서는 기술혁신이 국가 번영의 열쇠”라며,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상호협력이 양쪽 영역 모두에서 점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가 공공민간협력을 촉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면서, “국가혁신의 관점에서 공공민간협력을 바라보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첫 연사로 나선 왕 유앤 중국과학기술발전촉진센터(NRCSTD) 원장은 중국의 장·중기 과학기술발전 계획에 대해 설명하였다. 왕 원장은 “과학기술개발을 통해 현재 1,000달러에 머물고 있는 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을 15년 후에는 3,000달러 선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과학기술발전은 1956년부터 1967년까지 12년 계획이 수립된 이래 조금씩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해, IT산업의 일부 경우에는 최근 한국과 거의 격차를 보이지 않는 수준까지 도달했다. 최근에는 15년 단위와 5년 단위의 과학기술개발계획이 진행 중이다.
한편 라지시 코처러 인도과학기술개발연구원(NISTADS) 원장은 혁신이 계속되는 글로벌 경쟁체제에서 하이테크 산업과 로우테크 산업으로 나누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고속성장기술산업과 안정적기술산업”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했다. 코처러 원장은 “오늘 어떤 기술이 고속성장기술이었다 할지라도 내일엔 안정적기술이 된다”면서, “지식기반 경제는 고속성장기술산업과 그 단계를 조금 지난 상급 안정적기술산업, 그리고 서비스산업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했다.
12월 1일에도 계속되는 이번 행사에는 이란과 알제리에서 온 과학기술정책 전문가들의 발표가 뒤따라 더욱 폭넓은 의견교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전형준 객원기자
- samjeonst@yahoo.com
- 저작권자 2004-11-3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