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0여개의 과학중점학교 학교장과 담당교사 24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운영방안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앞으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지난 10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된 ‘2014년 과학중점학교 학교장 및 담당교사 워크숍’이 바로 그 현장이었다.
과학중점학교는 일반고의 과학․수학 교육을 강화하고 우수 과학인재를 길어낼 선진적 인재육성체제를 마련하여 우수인재의 이공계 진학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됐다. 이를 위해 과학중점학교에서는 과학․수학 전문교육은 물론 체험․탐구활동, 진로체험 활동 등을 통해 창의성과 융합적 마인드를 두루 갖춘 미래형 인재를 육성해 왔다.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만족도 5% 향상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공동주관한 이날 워크숍에서 발표한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2011년 학생 만족도가 2.97%였던 것이 2012년 3.18%, 2013년 3.36%로 계속 향상되는 추세다. 학부모는 2012년 3.48에서 3.55%로, 교사는 2012년 3.47에서 2013년 3.59%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전년 대비 평균 5% 향상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뿐만 아니라 과학중점학교 학생들은 과학 8과 이수, 전문교과 이수, 창의적 체험활동. 과학 및 수학 동아리 활동 등에 대해 만족도가 매우 높았으며 대학 진학은 물론 대학 공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과학중점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대학 진학률이 2011년 27.90%였던 것이 2013년 35.35%로 증가했으며 전체 학생의 대학 진학률 역시 2011년 63.72%에서 2013년 73.80%로 증가해 우수 인재의 이공계 진학 촉진은 물론 전체적인 학력향상도 가져온 셈이다.
이를 앞으로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발전방안으로 제시된 것은 학교별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즉 우수 중점학교 벤치마킹을 통해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도출하고 학교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는 방안이다. 또 교육부의 융합인재교육(STEAM) 등 과학교육정책과 연계하여 특별교과 및 심화과목을 다양하게 운영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특히 이날 2013년도 과학중점학교 운영 최우수 사례도 발표되어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여기서 경기 부흥고등학교 조능식 교장은 “과학도에게는 문학적 감수성도 필수요인이 되고 인문학이 강해야 과학이 따뜻해진다”며 이를 위해 부흥고에서 ‘르네상스 사이언스 터치’라는 잡지를 발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과학중점학교 관리자의 역할은 이공계열 마인드를 높이고 교육과정을 풍성하게 하며 수학․과학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소외학생을 배려하는 것”이라며 “부흥고에서는 ‘그림으로 보는 과학의 숨은 역사’, ‘과학, 역사 그리고 과학사’, ‘과학, 철학을 만나다’ 등 과학과 다른 과목의 융합을 시도했으며 ‘생각의 수레바퀴’ ‘TEDx 부흥토크’ 등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과학중점학교 운영 우수사례 발표
이밖에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우수학교 해외연수를 통해 얻어진 과학중점학교 해외우수사례 발표도 있었다. 이 자리에서 부산대 서혜애 교수(과학중점학교 지원연구단)은 “선진 시설과 선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학관련 특성화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학교 운영에 관한 정보를 얻고, 우수 과학문화를 탐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방안을 강구했다”고 말했다.
특별히 이날 일본, 싱가포르, 호주, 대만의 과학중점학교를 둘러보면서 취합한 각 학교의 프로그램들을 상세히 공유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중점학교 관계자들이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
또 <스토리가 스펙을 이긴다>의 저자 김정태 이사를 강사로 진행된 ‘최고가 아니라 유일함으로 승부하라’는 특강은 참석자들에게 큰 도전이 됐다. 여기서 김 이사는 “과학중점학교 학생들이 무수히 많은 작은 연습과 훈련을 통해 가장 멋진 기회에서 진가를 발휘하도록 도와주며 과학기술봉사활동을 통해 구체적인 행동으로 연계되는 미래사회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 김순강 객원기자
- pureriver@hanmail.net
- 저작권자 2014-04-1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