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 학생이 참여해 실력을 겨룬 ‘2013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 최종 수상자가 가려졌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4일 용산 아이파크몰에서 시상식을 열고 과학미술⋅융합과학⋅기계공학⋅전자통신⋅항공우주⋅탐구토론 등 6개 종목의 12개 부문 대상팀과 금상, 우수상, 은상, 동상, 장려상팀을 시상했다.

올해로 31회째를 맞은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는 지난 4월부터 전국 초·중·고교 학생 230만여 명이 참여했으며, 전국 17개 시⋅도별 예선대회를 거쳐 208팀 501명의 본선 참가자를 선발했다.
협동심과 협업을 강조한 최초의 대회
이들 본선 참가자들은 지난 7월30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본선 대회에 참가해 최종 경연을 벌여 대한민국 최고의 실력자들을 선발했다. 한국 과학기술의 미래를 짊어질 과학영웅들이다.
올해 대회는 특히 운영방식에 있어 파격적인 변화를 꾀했다. 탐구토론을 제외한 4개 종목에서 개인 우승자를 뽑아왔던 지난해까지의 대회 운영방식을 바꿔 올해부터는 6개 전 종목에 걸쳐 팀별 참여를 의무화했다.
31년간의 탐구대회 역사에 있어 참가자들에게 협동심과 협업, 그리고 팀워크를 강조한 최초의 대회라고 할 수 있다.
참가팀들에게 개인 실력보다 (협력을 통한) 아이디어, 표현력을 요구했다. 융합과학의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공학⋅수학⋅예술 등 영역 간의 협력을, 전자통신⋅기계공학⋅항공우주 등 다른 종목에서도 팀별 협력이 필요한 협업 과제들을 다양하게 제시했다.
과학미술 경연에 참가한 경남 밀양여자중학교 정유진, 최기원 학생팀은 한국의 전통가옥을 멋진 그림으로 표현해 대상을 받았는데 두 학생의 팀워크로 만들어낸 성과다. 협력을 통해 한옥의 과학적인 측면과 미적인 측면을 적절히 조화시켜 심사위원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융합과학 경연에 참가한 삼천포고등학교의 최기원, 임성균, 노준권 학생팀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아이디어가 가득 찬 배낭을 탄생시켜 대상을 수상했다.
배낭을 멜 때 등 쪽에 가해지는 압력과 고통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배낭이다. 세 학생은 협력을 통해 탄력작용에 의해 등이 편안하고, 등과 배낭 사이에 통풍이 가능하며, 매우 튼튼한 배낭을 만들 수 있었다.
여기에는 수학지식이 적용된 격자형식의 스프링, 한지로 만든 배낭끈 등 다양한 수학⋅과학 지식이 동원됐다. 협업에 의한 성공작이다.
전자통신 경연에 참가해 대상을 차지한 대구경동초등학교의 남기웅군과 대구교대대구부설초등학교의 송승원 군은 두 학생이 지닌 수학, 과학(IT)에 대한 지식을 융합해 덧셈⋅뺄셈 식을 광섬유를 통해 전송하는 데 성공한 케이스다.
팀워크 통한 아이디어에 역점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가 시작된 것은 31년 전이다. 1983년 과학의 달을 맞아 서울 한강둔치에서 이 행사를 처음 시작했는데 전국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많은 참가자가 몰리면서 대한민국 최대의 과학탐구대회로 자리를 잡았다.
이후 과학기술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대회 패턴도 계속 변화해왔다. 2000년대 들어서는 창의성을 강조했고, 올해부터 팀워크를 통한 아이디어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고 있는 ‘2013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는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이 후원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편 14일 한국과학창의재단이 발표한 6개 종목, 12개 부문의 대상 수상팀은 다음과 같다.
과학미술
초등부: 울산 무룡초등학교 (신예진, 이경민)
중학부: 경남 밀양여자중학교(정유진, 최기원)
융합과학
고교부: 경남 삼천포고등학교(임성균, 노준권, 이유성)
기계공학
초등부: 대구 대구동변초등학교(윤건), 대구 화동초등학교(노영승)
중학부: 전북 풍남중학교(배영훈, 한정무)
전자통신
초등부: 대구 경동초등학교(남기웅), 대구교대대구부설초등학교(송승원)
중학부: 경기 백마중학교(송정호), 성사중학교(신동민)
항공우주
초등부: 전북 남원월락초등학교(최세원, 김태훈)
중학부: 광주 송원중학교(김수아, 신유빈)
탐구토론
초등부: 경기 정발초등학교(권성욱, 박신근, 곽현용)
중학부: 경남 용남중학교(박시영, 우아람, 신지민)
고교부: 서울 영등포고등학교(이상욱, 오상현, 김솔)
-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 aacc409@naver.com
- 저작권자 2013-08-1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