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자동차 산업의 중요한 변수로 등장한 구글(Google)과 기존 자동차업계가 자동차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통제권입니다. 기존 자동차업계가 자동차의 통제권을 사람에 국한하고 있는 반면에, 구글은 통제권이 컴퓨터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차량IT 융합기술의 동향 및 전망을 공유하고 미래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논의하는 컨퍼런스가 열리고 있는 현장.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공영일 박사는 IT기술이 향후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임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11일(화) 삼정호텔에서는 자동차 및 IT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2013 차량IT융합기술 컨퍼런스’가 '차량IT 융합기술 기반의 미래형 자동차 개발전략’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사람과 컴퓨터로 나뉘는 미래 자동차의 통제권
오전 세션에서 ‘구글의 자동운전차 수익모델과 시사점’에 대해 주제발표를 한 공 박사는 구글의 자동운전자동차(Self-Driving Car)의 핵심에 대해 “신호와 차선 등 자동차 주변의 모든 사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와 수집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컴퓨터’, 그리고 차량 방향에 대한 조작이나 가속 또는 정지 등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3가지 조합이 결정체”라고 소개했다.
공 박사는 “구글과 기존 자동차업계가 경쟁하고 있는 자동운전차의 개발이 각각 통제권의 주체가 다른 만큼 장·단점이 존재한다”며 “구글이 인간의 실수로 인한 인명사고를 대폭 감소시키자는 취지에서 자동운전차를 만들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동차업계는 시스템 오류 등으로 인해 사고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통제권은 사람에게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발표를 마무리하며 공 박사는 “컴퓨터에 운전을 위임하는 시기는 앞으로도 10년이 더 걸릴수 있지만 자동운전 시스템의 상용화는 5년 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구글의 자동차사업 수익모델은 자동운전 시스템의 라이센싱이 유력하다”고 예상했다.
이어서 ‘Autonomous Smart Vehicle’을 주제로 발표한 영남대 전자정보공학부의 박용완 교수는 “스마트카의 등장은 교통사고를 줄이고 예산을 낮추려는 필요성에 의해 시작되었다”며 “스마트카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교통사고가 10%가 감소하고, 교통사고 관련 예산도 1조원 정도 아낄 수 있다는 통계가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차세대 미래형 자동차를 차량용 소프트웨어와 차량용 센서 부품, 그리고 통신의 3박자가 융합된 스마트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라고 정의했다. 사용 용도에 따라 안전이나 편의성에 중점을 스마트카와 친환경에 무게를 둔 스마트카로 분류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이 같은 스마트 기술의 3요소를 통해 사고회피나 충돌방지, 그리고 안전예방 등의 기대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차선을 유지하거나 이탈을 경고하며,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경보기능 등이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교통약자들을 배려하는 첨단교통 R&D 방향
VIT(Vehicle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중점적으로 소개된 오후 세션에서 ‘막힘없는 첨단교통의 R&D 기획방향’에 대해 발표한 교통연구원(KOTI)의 문영준 센터장은 교통물류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OECD의 하위권 수준인 물류비나 교통사고비용 등이 절감을 통해 교통물류의 선진국 진입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 센터장은 “기술개발의 배경으로 고속도로의 지속적 고속주행이나 국도의 간선교통 수송기능과 같은 도로 본래의 제 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시작했다”며 “이를 통해 첨단 교통의 구현을 통해 막힘없고 혼잡없는 도로 본 기능의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 센터장은 “첨단 교통의 R&D 목표 설정을 스마트 도시형에 적합한 도로교통망의 구축과 스마트 자율 주행도로를 통한 편안한 고속주행으로 정했다”며 “IT 기반의 도로주행기술이나 도로 인프라 같은 첨단 교통기술을 통해 오는 2017년까지 고속도로 혼잡시간대의 통행속도를 50%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정책과 연계된 기술개발 계획에 대해 밝힌 문 센터장의 발표를 살펴보면 2016년까지 추진되는 국가교통안전 기본계획에 따라 고속도로 고속화 기술이 개발될 예정이다. 또한 오는 2020년까지 진행되는 지능형 교통체계 기본계획에 의거해서는 스마트 하이웨이(Smart Highway) 같은 도로용량 최적화 기술이 적용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교통약자를 위한 개인이동플랫폼 및 서비스(Welfare IT Car)’에 대해 주제발표를 한 전자통신연구원(ETRI) 산업IT융합연구단의 손주찬 단장은 “고령화시대 대비하여 자동차와 IT기술이 융합된 산업정책 수립과 추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손 단장은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카'에 대해 “판단 및 인지의 오류와 같은 장애요인들을 IT와 센서기술의 도움으로 예방하는 교통수단”이라며 “상황인식과 반사신경, 그리고 후방인지 등의 기술이 보완된 차량”이라고 밝혔다.
손 단장이 밝힌 장애요인 보완 기술이 적용된 교통약자 친화형 이동 플랫폼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시트 전후의 슬라이딩 기능을 통한 승·하강의 편의제공과 출입문 개폐의 편리성, 그리고 360도 영상지원 및 주차지원시스템 등이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손 단장은 개발전략과 관련한 사례로 “계기판 같은 경우는 계기판의 폰트 확대 같은 단순한 개선이 아닌 사용자 특성에 맞는 설계 지침 같은 근본적 변경이 필요하다”며, 이에 대한 개발전략의 키워드로 ‘신개념 서비스 융합 제품’과 ‘기술선도적 소프트웨어의 R&D 강화’를 꼽았다.
여기서 신개념 서비스 융합 제품의 경우 고령화 미래생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생활 밀착형 IT 융합 자동차 등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기술선도적 소프트웨어의 R&D 강화전략으로는 IT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기술력 제고 및 중소기업의 지원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김준래 객원기자
- joonrae@naver.com
- 저작권자 2013-06-1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