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똥구리는 똥을 굴리며 땅바닥을 기어가지만 눈만은 은하수의 빛을 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와 BBC 뉴스가 24일 최신 연구를 인용, 보도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스웨덴 과학자들은 쇠똥구리가 은하수의 빛을 보고 방향을 찾는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커런트 바이올로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사람과 새, 물개 등은 별을 보고 방향을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곤충에서 이런 행동이 확인되기는 처음이다.
쇠똥구리는 시력이 약해 별자리의 빛을 따로따로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무리진 별들이 강물처럼 보이는 은하수의 빛에 의지해 제 집이자 먹이가 되는 동그란 똥덩이를 직선으로 굴려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쇠똥구리가 반드시 은하수와 일치하는 선이나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지만 어느 방향으로 가든 자기가 만든 '소중한' 똥구슬을 경쟁자들이 빼앗아 갈 위험이 있는 똥무더기로 되돌아가지 않기 위해 은하수를 지침으로 삼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앞서 연구에서 쇠똥구리들이 해와 달, 편광을 이용해 방향을 찾는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이들은 실험에서 쇠똥구리들의 눈에 빛이 닿지 않도록 하는 모자를 사용했다.
이들은 또 쇠똥구리들이 자신이 만든 똥구슬 위에 올라가 방향을 찾는 `춤'을 추며 춤을 추는 과정에서 방향을 잡는데 사용할 광원(光源)을 찾아낸다는 사실도 발견했지만 달이 뜨지 않은 밤에 이들이 어떻게 길을 찾는지는 궁금증으로 남았다.
연구진은 이번엔 밤하늘을 시뮬레이션한 천체투영관에서 쇠똥구리들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이들이 은하수 춤을 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지평선에 보이는 나무 같은 표지 정보를 사용할 수 없도록 검은 벽으로 둘러친 통에 담긴 쇠똥구리들은 하늘에 모든 별이 다 보일 때 길을 가장 잘 찾았지만 은하수의 뿌연 빛만 있을 때도 이에 못지않게 잘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쇠똥구리들에게 밝은 별들만 보여줬을 땐 길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들에게 중요한 길잡이는 점이 아닌 막대 모양의 빛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쇠똥구리들은 겹눈을 갖고 있다. 겹눈을 가진 게들은 가장 밝은 별을 볼 수 있는데 쇠똥구리들에게 이런 능력이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실제로 지평선에서 은하수가 사라지는 시기에는 쇠똥구리들도 길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많은 다른 동물들도 쇠똥구리와 같은 방식으로 길을 찾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앞으로 밝혀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3-01-2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