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9-15

"가족 갈등, 자녀 수면의 질 떨어뜨리고 저녁형 인간 만든다" 호주 연구팀 "조절 가능한 부모 행동 요인, 청소년기 자녀 수면에 영향"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부모가 조절할 수 있는 행동 요인들이 청소년기 자녀의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가족 갈등이 많으면 자녀가 저녁형 생활 리듬을 갖게 되고 수면의 질도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폰 사용하는 청소년들 ⓒ연합뉴스TV 제공
스마트폰 사용하는 청소년들 ⓒ연합뉴스TV 제공

호주 멜버른대 바네사 크로플리 박사팀은 12일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미국 청소년 3천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뇌 발달 추적 연구(ABCD) 데이터를 분석,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청소년 초기의 부모 관련 요인이 4년 뒤 이들의 수면 패턴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청소년 수면 건강 개선을 위한 가족 중심 개입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수면 문제는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청소년 수면에는 부모의 양육 방식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어, 조절 가능한 부모 관련 요인은 자녀 수면 건강 개선을 위한 개입에 목표가 될 수 있다.

연구팀은 그러나 부모 관련 요인들이 무엇을 매개로 청소년 수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등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16년 6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3차례에 걸쳐 자료가 수집된 미국 청소년 뇌 발달 추적 연구(ABCD) 참가자 3천419명(평균 나이 9.5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데이터는 참가자들이 9~11세, 12~13세, 13~14세일 때 수집됐다.

부모 행동 가운데 가족 갈등, 우울·불안 등 수정 가능한 요인들이 4년 뒤 청소년 수면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스크린 사용과 정서 조절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성별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는지 등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가족 갈등이 많으면 청소년은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늦어지면서 저녁형 생활 리듬을 갖게 되고 수면의 질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우울, 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을 경우에도 청소년 자녀가 잠드는 시간이 늦어지고 전반적으로 저녁형 생활 리듬을 보이며 수면의 질도 나빠졌다.

이런 부모 요인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칠 때 스크린 사용 시간 증가가 가장 강한 매개 역할을 했으며, 정서 조절 능력은 주로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를 세심히 보살피는 부모의 태도는 수면의 질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고, 특히 부모의 따뜻한 태도는 딸들이 아침형 생활 리듬을 갖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높은 수준의 부모 보살핌은 더 나은 수면의 질과 연관된 반면, 가족 갈등, 부모의 정서 문제 등은 늦은 취침 시간과 수면의 질 저하 등과 관련이 있었다며 이는 청소년 수면 건강 개선을 위한 잠재적 개입 표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JAMA Network Open, Vanessa Cropley et al., 'Modifiable Parental Factors and Adolescent Sleep During Early Adolescence',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2838762?guestAccessKey=1b34668e-afe8-4888-aa3d-dd05b3b83eff&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content=tfl&utm_term=091125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9-15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차대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대길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