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초·응용과학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10-15 연구의 ‘사회적 영향력’, 어떻게 표현할까… 미 국립과학재단이 밝힌 5가지 팁 광범위한 영향력(Broader Impacts, 이하 BI)이란, 연구개발이 가진 ‘지식을 발전시킬 가능성(지적 탁월성: Intellectual Merit)’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간 개념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에 얼마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고찰한다. NSF는 연구 제안서 제출 시 반드시 이 두 가지 기준에 대해 별도로 기술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NSF가 밝힌 5가지 팁은 다음과 같다. 환경·에너지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10-01 게임으로 세상 바꿀 수 있을까… 기후위기 다룬 게임 ‘주목’ 미국 경제월간지 패스트컴퍼니(Fastcompany)는 최근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게임들을 소개하며 ‘게임이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고찰했다. ‘서바이브 센츄리(Survive Century)’라는 게임의 플레이어는 뉴스 편집자가 되어 어떤 의제를 뉴스에 실을지 선택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게임 속 경제 상황이나 지구 평균기온 등이 변한다는 점이다. 인재양성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09-09 “현재 과학교육, 미래 대비엔 미흡”… 22개국 과학교사 설문조사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는 지난 2019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 ‘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 2025 과학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 세계 22개국 398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휴가 다녀오니 ‘43일’이나 행복해 "실외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치매 위험 커진다" ETRI "미디어 국제표준 특허 2천건·기술료 1천억원 돌파"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2023년 기록적 해양 폭염, 기후변화 임계점 근접 조기 경보" 속보 뉴스 "소지방·돼지기름, 종양 성장 촉진하고 면역은 약화시켜" '주사 한 번으로 치료'…고양이 갑상샘항진증 치료제 나온다 콩벌레 공생 천연 곰팡이 없이도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만든다 극지연구소, 5억년 전 고생물 정체 입증…"50년 논쟁 끝냈다" "해저 9천532m에서 화학반응으로 에너지 얻는 생물군집 발견" 위성·선박·드론 등 움직이는 환경 양자통신기술 세계 첫 개발 UNIST, 위기 상황에 강한 협력형 AI 훈련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