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초·응용과학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10-15 연구의 ‘사회적 영향력’, 어떻게 표현할까… 미 국립과학재단이 밝힌 5가지 팁 광범위한 영향력(Broader Impacts, 이하 BI)이란, 연구개발이 가진 ‘지식을 발전시킬 가능성(지적 탁월성: Intellectual Merit)’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간 개념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에 얼마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고찰한다. NSF는 연구 제안서 제출 시 반드시 이 두 가지 기준에 대해 별도로 기술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NSF가 밝힌 5가지 팁은 다음과 같다. 환경·에너지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10-01 게임으로 세상 바꿀 수 있을까… 기후위기 다룬 게임 ‘주목’ 미국 경제월간지 패스트컴퍼니(Fastcompany)는 최근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게임들을 소개하며 ‘게임이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고찰했다. ‘서바이브 센츄리(Survive Century)’라는 게임의 플레이어는 뉴스 편집자가 되어 어떤 의제를 뉴스에 실을지 선택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게임 속 경제 상황이나 지구 평균기온 등이 변한다는 점이다. 인재양성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09-09 “현재 과학교육, 미래 대비엔 미흡”… 22개국 과학교사 설문조사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는 지난 2019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 ‘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 2025 과학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 세계 22개국 398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