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초·응용과학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10-15 연구의 ‘사회적 영향력’, 어떻게 표현할까… 미 국립과학재단이 밝힌 5가지 팁 광범위한 영향력(Broader Impacts, 이하 BI)이란, 연구개발이 가진 ‘지식을 발전시킬 가능성(지적 탁월성: Intellectual Merit)’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간 개념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에 얼마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고찰한다. NSF는 연구 제안서 제출 시 반드시 이 두 가지 기준에 대해 별도로 기술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NSF가 밝힌 5가지 팁은 다음과 같다. 환경·에너지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10-01 게임으로 세상 바꿀 수 있을까… 기후위기 다룬 게임 ‘주목’ 미국 경제월간지 패스트컴퍼니(Fastcompany)는 최근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게임들을 소개하며 ‘게임이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고찰했다. ‘서바이브 센츄리(Survive Century)’라는 게임의 플레이어는 뉴스 편집자가 되어 어떤 의제를 뉴스에 실을지 선택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게임 속 경제 상황이나 지구 평균기온 등이 변한다는 점이다. 인재양성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혜경 선임연구원 2021-09-09 “현재 과학교육, 미래 대비엔 미흡”… 22개국 과학교사 설문조사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는 지난 2019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 ‘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 2025 과학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 세계 22개국 398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체외 미세 칩으로 폐암 등 고형암 치료 효과 예측한다 코이카, 파라과이에 K-항공기술 전수해 중남미 항공 허브 구축 한불우주포럼 개최…32개 기업 협력 논의 국제과학관심포지엄서 'AI 시대 과학관 역할' 공동합의문 채택 개미들이 보여준 사회적 거리두기 건축 설계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노화된 뇌의 기억력 저하 되돌릴 수 있다…쥐 실험 확인" 속보 뉴스 "북극고래 200년 장수 비결은…뛰어난 DNA 손상 복구 능력" "AI 똑똑해질수록 더 이기적 행동 경향 보여" 블랙홀, 다른 블랙홀 삼키며 점차 커지나…중력파 관측서 확인 정부, '의과학·바이오 특화 AI 모델' 띄운다…루닛·KAIST 선정 순천향대 교수팀, 폐배터리 속 리튬·니켈 분리 신기술 개발 테이블·해먹 변신 뚝딱…KIST '오노봇' 로봇 디자인대회 최고상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