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민 과학기술전문 저술가"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찾기 내용 지우기 전승민의 백신 이야기 전승민 과학기술전문 저술가 2021-06-08 중국의 코로나19 대응 비법 ‘불활성화 백신’ 현대에 백신의 존재는 매우 당연하지만, 과거엔 사실 앞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로 여겨질 수 있다. ‘병을 예방하기 위해 그 병원체를 주사로 맞자’는 이야기가 어불성설처럼 여겨질 수 있어서다. 설사 안전성과 필요성을 이해했다 해도 살아있는 병원체를 안전하게 만드는 일, 즉 ‘약독화’ 과정은 많은 수고가 필요한 쉽지 않은 과정이다. 끝없이 배양을 반복해야 하고, 그때마다 안전성을 시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니 백신 개발자 사이에선 ‘처음부터 죽어있는 병원체를 쓰면 될 것 아니냐’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등장하는 건 당연한 수순이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