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덕 과학칼럼니스트"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찾기 내용 지우기 환경·에너지 임종덕 과학칼럼니스트 2021-03-12 공룡도 새끼를 돌볼까? 지난 2008년 필자가 이끄는 연구진이 경북 의성군에서 발견한 용각류 가족의 발자국 보행렬은 가족생활을 했을 것이라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작은 용각류 새끼 두 마리는 어미가 있는 방향으로 걸어간 흔적을 남겼다. 새끼들은 발자국 길이가 10cm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알에서 깨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작은 공룡이었기 때문에 어미와 함께 가족을 이루어 살았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세계 우주 주간을 맞이하여] 인류 우주 탐사의 발자취와 미래 비전 하늘이 높아졌다. 가을철 ‘식욕 폭발’을 대비하라 도로 위 빅데이터가 예측하는 추석 귀성길 보름달은 왜 크게 보일까? “AI 에이전트 붐?… 완전 자율 도입 기업은 고작 15% "사진 속 깊이까지 읽는다" AI 공간 추론 명령어 기술 개발 망막 질환 검사 정확도 높일 '인공 눈' 개발 KAIST 개발한 산업용 보행 로봇 상용화한다…조선소 적용 추진 인류는 언제 포식자 됐나…"호모 하빌리스, 맹수에 잡아먹혀" 수소 값싸게 생산…기계연, 고온 수전해 기술 3천시간 운전 성공 속보 뉴스 인류는 언제 포식자 됐나…"호모 하빌리스, 맹수에 잡아먹혀" 망막 질환 검사 정확도 높일 '인공 눈' 개발 생기원·엔피씨, 스티로폼 대체할 수산물 포장 다회용기 개발 KAIST 개발한 산업용 보행 로봇 상용화한다…조선소 적용 추진 "사진 속 깊이까지 읽는다" AI 공간 추론 명령어 기술 개발 수소 값싸게 생산…기계연, 고온 수전해 기술 3천시간 운전 성공 중앙과학관, 조류와 AI 만남 '조잘조잘' 특별전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