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찬 객원기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타 송병찬 객원기자 2021-05-24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연구현장에 안착하려면 국내 연구계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21개 정부 부처의 연구과제 관리 기준을 일원화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1월 1일부터 시행되었기 때문이다. 하반기에는 이를 완성하기 위해 모든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과제 관리 시스템을 하나로 묶은 통합시스템이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1982년 220억원의 정부 예산으로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작한지 40년, 2001년 과학기술기본법과 200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정으로 여러 부처가 지금과 같은 형태로 사업을 추진한지 20년만이다. 그동안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액이 연 27조원 규모로 크게 늘고 사업의 종류와 과제 수뿐만 아니라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규정과 시스템이 지나치게 많아져, 오히려 행정적인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 혁신법 제정의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뷰 송병찬 객원기자 2020-10-30 "지속적으로 새로운 과제에 도전할 것" 이마리아 교수는 2016년 박사학위를 마치기도 전에 서울대에 임용된 이력을 가지고 있지만, 예상을 깨고 연세대에서 학·석·박사를 마친 국내파다. 일찍 임용된 것을 두고 덕담을 건네자, “여성이고, 타교 출신이라 오히려 유리한 점이 있었어요.”라고 말하는 것에서 젊은 연구자의 솔직함이 느껴졌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실명 위기의 노인들에게 찾아온 빛, 2mm 칩이 시력을 되살리다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2천 년 침묵 깬 ‘신들의 도시’, 테오티우아칸 문자 해독되다 과학의 변곡점마다, 언제나 물리학이 있었다 [점자의 날 특집] 초소형 폭발로 만드는 점자 디스플레이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AI 똑똑해질수록 더 이기적 행동 경향 보여"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기후 위기에 강한 상권 AI로 찾는다…KAIST·MIT 공동 연구 속보 뉴스 에너지연서 국내 첫 호라이즌유럽 컨소시엄 회의…태양전지 연구 켄텍, 세계 최고 수준 효율 알칼라인 수전해 전극 개발 한국-스위스, 장거리 대기권 양자통신 공동연구 착수 "차세대 리튬메탈전지 화재 위험↓"…고체 전해질 필름 개발 미세먼지에 노출된 면역세포 염증 반응 지속되는 과정 밝혀 LTE 핵심 네트워크 보안허점 규명…미인증 메시지로 통신 마비 "눈 망막 혈관 밀도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위험 커져"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