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찬 객원기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타 송병찬 객원기자 2021-05-24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연구현장에 안착하려면 국내 연구계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21개 정부 부처의 연구과제 관리 기준을 일원화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1월 1일부터 시행되었기 때문이다. 하반기에는 이를 완성하기 위해 모든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과제 관리 시스템을 하나로 묶은 통합시스템이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1982년 220억원의 정부 예산으로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작한지 40년, 2001년 과학기술기본법과 200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정으로 여러 부처가 지금과 같은 형태로 사업을 추진한지 20년만이다. 그동안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액이 연 27조원 규모로 크게 늘고 사업의 종류와 과제 수뿐만 아니라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규정과 시스템이 지나치게 많아져, 오히려 행정적인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 혁신법 제정의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뷰 송병찬 객원기자 2020-10-30 "지속적으로 새로운 과제에 도전할 것" 이마리아 교수는 2016년 박사학위를 마치기도 전에 서울대에 임용된 이력을 가지고 있지만, 예상을 깨고 연세대에서 학·석·박사를 마친 국내파다. 일찍 임용된 것을 두고 덕담을 건네자, “여성이고, 타교 출신이라 오히려 유리한 점이 있었어요.”라고 말하는 것에서 젊은 연구자의 솔직함이 느껴졌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휴가 다녀오니 ‘43일’이나 행복해 우리는 '아이' 대신 '개'를 키우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더 행복해질 수 있다?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외계 생명체 증거'라던 논문, 15년 만에 철회 생명연, 세계 최초로 '조로증' 치료 가능성 열었다 속보 뉴스 한의학연, '한증' 유전지표의 지방간 등 대사질환 연관성 밝혔다 '주변 빛으로 배터리 전력↑' 24시간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링 조선대-충남대 연구팀, 리튬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 개발 "매일 15분만 빠르게 걸어도 장기적 사망 위험 20% 감소" "감자는 900만년 전 남미 토마토로부터 진화했다" "소지방·돼지기름, 종양 성장 촉진하고 면역은 약화시켜" '주사 한 번으로 치료'…고양이 갑상샘항진증 치료제 나온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