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응서 객원기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9 건 찾기 내용 지우기 생명과학·의학 박응서 객원기자 2016-02-16 70여년 전 선보인 '콩 자동차' 콩으로 만든 자동차는 약 70년 전인 1941년에 헨리 포드에 의해 등장했었다. 자동차를 대중화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인물인 헨리 포드는 콩에도 관심이 높았다. 그는 “농업과 산업이 파트너가 될 수 있다”며 당시 동물 사료로 밖에 쓰이지 않던 콩을 본격적으로 자동차 산업에 이용하기 시작했다. 생명과학·의학 박응서 객원기자 2016-02-11 콩 싫어하는 아이, 어떻게 먹일까 최근 콩이 슈퍼푸드로 인기가 높지만 어린이들에게 콩을 먹이기는 쉽지 않다. 아이들에게 밥에 콩을 넣어서 주면 적지 않은 수가 콩을 골라내서 먹는 것을 볼 수 있다. 콩은 단맛이 나지 않는데다 딱딱한 식감으로 인해 반찬으로도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생명과학·의학 박응서 객원기자 2016-02-04 매일 유전자변형 콩 먹는 한국인 2014년 우리나라는 콩(대두)을 식용으로 128만 톤이나 수입했다. 이 중 80%인 102만 톤의 콩이 유전자변형생물체(GMO)인 ‘유전자변형(GM) 콩’이다. 또 식용으로 126만 톤의 ‘유전자변형 옥수수’도 수입했다. 2014년은 처음으로 100만 톤 이상의 유전자변형 콩을 수입했고, 식용 유전자변형 작물 수입량도 처음으로 200만 톤을 넘어선 해다. 생명과학·의학 박응서 객원기자 2016-02-01 콩 때문에 죽은 피타고라스 콩과 관련된 이야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피타고라스다. 그는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제곱은 각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유명하다. 그는 채식주의자로도 유명했는데, 채식을 하면서도 공교롭게 콩을 절대 먹지 않았다. 박응서 객원기자 2016-01-26 IT천재들 '콩 고기'에 주목한 이유 최근 참살이(웰빙) 붐이 채식이 사망률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와 이어져 채식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부쩍 늘고 있다. 미국 로마린다대 마이클 오를리치 교수연구팀은 채식주의자 3만7950명과 채식을 하지 않는 3만5359명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약 6년간 사망률을 조사했다. 생명과학·의학 박응서 객원기자 2016-01-25 두부와 청국장, 소화흡수율 90% 우리는 보통 단백질이 동물성 식품에 풍부하다고 생각한다. 사람의 단백질 섭취도 주로 동물성 식품을 통해 얻는 것으로 알기 쉽다. 그런데 사람이 섭취하는 단백질의 70% 이상은 곡물과 콩과식물에서 얻는다. 사람이 얻는 단백질의 대부분은 식물성인 셈이다. 생명과학·의학 박응서 객원기자 2016-01-21 한반도는 콩의 고향! 국내에 세계 최초로 콩 박물관이 설립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한반도와 만주가 콩의 고향, 즉 원산지라는 학계의 의견도 한몫했다. 신석기와 청동기 유적에서 숯불처럼 타버린 콩이 종종 발견되고 있을 뿐 아니라 지금도 한반도 곳곳에서 다양한 야생콩과 재래종 콩이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초·응용과학 박응서 객원기자 2015-10-08 수학에 대한 자신감, 성적 높인다 자녀가 수학을 잘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초등학생 때 수학이 자신을 위한 과목이라거나 수학을 잘한다는 생각을 심어주면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소개됐다. 수학에 대한 잠재의식이 실제 수학 성적에 영향을 준다는 얘기다. 박응서 객원기자 2015-10-06 사람마다 아름다움을 보는 눈이 다른 이유 지난 1일 손예진, 하지원, 신민아, 정우성, 황정민, 김남길, 이정재 등 수많은 배우들이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에서 레드카펫을 지나자 관객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배우들 대부분은 모두 멋지거나 예쁘고 매력적인 외모를 자랑한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