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호 객원기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7 건 찾기 내용 지우기 인터뷰 김상호 객원기자 2012-02-22 "현미경 속에서 더 큰 세상을 봅니다" 김규환 군(19, 경기도 백신고)은 꽤 오랫동안 현미경으로 사물을 관찰하고, 그 기록을 인터넷 블로그에 남겼다. 학업이 우선이라 적극 홍보하지 않았지만, 어느새 파워블로거로 선정. 이름이 서서히 알려지다가 마침내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했다. 인재양성 김상호 객원기자 2012-02-17 기업, 교육 위해 벽 허물다 2월 16일(목), (주)케이피케미칼 서울사무소에서 무역교육기부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준비한 이번 프로그램은 신입사원교육교재를 기반으로 준비됐다. 자발적인 노력으로 학생들의 만족을 이끌어낸 현장을 방문했다. 기초·응용과학 김상호 객원기자 2012-02-16 찾아가는 스마트교실 현장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텔레콤 본사는 낯선 방문자들이 만들어내는 소란으로 잠시 혼란스러웠다. 직장인의 바쁜 일상과는 어울리지 않는 다소 떠들썩한 무리가 1층 로비를 장악했기 때문이다. 중학생 또래의 학생들이 단체로 찾아온 이유가 뭘까? 회사 로비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이 학생들의 정체가 도대체 뭘까? 인재양성 김상호 객원기자 2012-01-12 과학체험활동과 인성교육 함께 한다 1월 11일. 서울덕암초등학교 과학나눔봉사활동 현장을 방문했다. 이날 덕암초등학교에서는 우수과학도서 기증식이 이뤄졌고, 초등학생들에게 과학을 쉽게 전달하기 위한 대학생들의 노력이 빛났다. 정보통신기술 김상호 객원기자 2012-01-05 과학나눔으로 2012년을 열다 새해 첫 번째 월요일인 1월 2일. '동계 대학생 과학나눔 봉사활동'이 시작됐다. 앞으로 14일간 전국 각지 초등학교에서 110팀의 멘토가 과학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멘티로 참가하는 초등학생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멘토들 덕분에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올라가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김상호 객원기자 2011-12-23 최고의 성탄절 선물, 과학콘서트 한국과학창의재단은 22일 아주대학교에서 크리스마스 과학콘서트'를 개최했다. 올해 9회째를 맞는 크리스마스 과학콘서트는 영국 왕립연구소의 극장식 과학강연을 우리나라에 도입한 청소년을 위한 과학강연이다. 기초·응용과학 김상호 객원기자 2011-12-15 일반고에서 과학고로, 이례적 성과 입시 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유도하는 과학중점학교만의 노하우는?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중점학교 지원연구단은 12월 14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과학중점학교운영성과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과학관에는 인천 진산고를 비롯해 전국에 활동중인 100개의 과학중점학교 운영진이 한자리에 모여 그간의 활동을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김상호 객원기자 2011-12-07 대한항공, 교육기부로 공교육에 날개를 대한항공은 12월 5일, 서울 강서구 공항동 본사에서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 기부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대한항공은 이번 협약을 통해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 기부 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정보통신기술 김상호 객원기자 2011-12-02 과학자, 대중과의 소통 실패 원인은? 미디어는 끊임없이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지만, 점점 더 혼란스러워질 뿐이다. 이유가 무엇일까? 기초·응용과학 김상호 객원기자 2011-12-01 과학계, 적극적 미디어활용 필요 국내외 과학커뮤니케이션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사회(STS)이슈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국제포럼이 개최됐다. 강연자들은 과학미디어의 미래와 향후 전망에 대해 모색하였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후각이 뇌를 속인다…"이건 냄새가 아니고 맛이야" 속보 뉴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원자력연,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안전성 검사 장치 개발 과기한림원, 18·29일 AI방산·AI기초과학 주제 토론회 과총, 18일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오픈포럼 "알츠하이머병 유전자 있으면 뇌 속 별세포 면역기억↓" "척수 별세포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손상된 척수 회복 방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