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태 기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61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초·응용과학 김길태 기자 2019-12-09 사물인터넷, 스마트팜 국제표준 한국이 이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월 25일부터 12월 6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T Study Group 20 국제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개발한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팜 관련 표준안 5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밝혔다. 김길태 기자 2019-12-06 이번 주말엔 과학문화콘텐츠 속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나아가는 과학기술, 함께 만드는 과학... 기초·응용과학 김길태 기자 2019-12-05 2019년 올해의 과학교사상 시상식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6일 11시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2019년 올해의 과학교사상 시상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인터뷰 김길태 기자 2019-12-04 12월 과학술인상에 박종혁 충북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박종혁 교수를 선정... 김길태 기자 2019-12-02 미래직업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급변하는 미래사회의 직업변화를 강연과 공연으로 접할 수... 기초·응용과학 김길태 기자 2019-11-26 한-EU 공동연구 컨퍼런스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27일(수),티마크 그랜드호텔에서 2단계(’18∼’20년)한-EU 공동연구사업 성과 및 5G, 클라우드 등의 글로벌 기술동향을 공유하기 위한 ‘2019한-EU 공동연구 컨퍼런스(2019 Korea-EU Joint R&D Conference)’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환경·에너지 김길태 기자 2019-11-22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019년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을 서울 마포구 가든호텔에서 열린 ‘2019년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성과전’에서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김길태 기자 2019-11-22 코딩으로 손주와 놀아준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안성진)이 사회보장정보원(원장 임희택)과 함께 소프트웨어 교육복지... 과학기술 김길태 기자 2019-11-21 생체모방 인공신경 기술 등 10대 나노융합기술 발표 ‘유기나노소재 기반 생체모방형 인공신경 기술’, ‘full-color 홀로그램 제조 플랫폼 기술’ 등 2019년도 10대 나노융합 신기술이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산자원부는 올해로 8회째인 「2019 나노융합성과전」을 2019년 11월 21일(목) 서울역 밀레니엄 힐튼에서 공동으로 개최했다. 올해 10대 나노융합 신기술로는 기초원천기 사타가 간다 김길태 기자 2019-11-20 한-아세안 여성과학기술인 정책포럼 개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과 아세안 여성과학기술인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아세안 여성과학기술인 정책포럼’이 21일(목)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