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ure.com"에 대한 검색 결과 총 4 건 기초·응용과학 김현정 리포터 2023-05-18 하얗게 변한 머리카락, 모낭 속 줄기세포야 힘을 내!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지에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줄기세포의 작용원리를 규명한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뉴욕대학교 그로스만의대 연구원 연구진은 모낭 속 멜라노사이트 줄기세포의 독특한 특성들과 모발의 색을 결정하게 되는 과정을 확인해 흰머리를 예방, 또는 되돌릴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발견했다. 환경·에너지 김현정 객원기자 2021-12-08 친환경 비행기 연료, 대기에서 직접 얻는다? 온실가스 배출 ‘0’을 목표로 개발된 친환경 자동차에 이어 비행기 연료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달 네이처(Nature.com)지에는 오직 태양열, CO₂와 H₂O를 재료로 ‘친환경 항공유’를 생산할 수 있는 ‘열화학 태양 연료 생산 체인(thermochemical solar fuel production chain)’에 대한 연구 결과에 게재됐다. 항공·우주 김현정 객원기자 2021-10-27 금성에는 바다가 없었다? 미국항공우주국이 32년 만에 금성 탐사를 재개한다고 발표하면서, 금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스위스 제네바 대학교와 NCCR 공동 연구팀은 '금성에는 바다가 없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신소재·신기술 김현정 객원기자 2021-01-15 빛으로 AI가 빨라진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초고속 처리하는 하드웨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리소스 전달체를 광자(photons)로 활용하는 광학 컴퓨팅은 기존의 전자 컴퓨팅보다 초고속 처리가 가능하다. 중국 칭화대학의 후아칭 우(Huaqiang Wu) 교수는 네이처에 소개된 논문을 통해 “기존의 전자컴퓨팅은 전자(electrons)가 리소스들을 운반하는 과정이었다. 하지만 최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데이터의 양과 리소스들의 복합 연산을 위한 과정은 전자 컴퓨팅으로 처리하기에 역부족이다.”라고 말했다. AI 활용 시 종종 일어나는 지연 현상은 바로 정보처리 과정에서 리소스들의 충돌과 병목현상에서 비롯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아이를 낳으면 삶이 더 의미 있어지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2]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임대 수익 넘어 독자 우주기술로 '우주 강국' 도약 한국광학회와 물리학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속보 뉴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함정 수중방사소음 실시간 예측기술 개발…"은밀성 확보" 아주대·서울대·美퍼듀대 공동연구팀 "고정밀 전자피부 개발"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