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염색체"에 대한 검색 결과 총 4 건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4-12-30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X 염색체 유전자 변이 발견" 뇌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X 염색체상 'DDX53' 유전자 등의 변이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제작 이소영(미디어랩) 캐나다 토론토대 어린이병원(SickKids) 스티븐 셰어 박사와 이탈리아 지아니나 가슬리니 연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0-10-07 암 돌연변이 축적 방법에 대한 단서 찾았다 암에서 발견되는 돌연변이는 아무렇게나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기저 요인은 물론, 세포 내 게놈의 3차원 구성에 따라 달라지는 뚜렷한 패턴을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0-07-15 인간 유전체 연구의 새 장을 열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인간유전체연구원(NHGRI) 연구팀이 처음으로 인간 염색체의 종단(end-to-end)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내는데 성공했다. 이는 인간 염색체를 염기별로 정확하게 시퀀싱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게 됐으며, 연구자들이 완전한 인간 유전체 서열을 생성할 수 있게 됐음을 보여주는 성과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08-14 50 대 50 ‘성비의 비밀’ 밝혀냈다 14일 ‘사이언스’, ‘가디언’ 지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50 대 50 수준에 머무는 포유류 성비의 비밀을 밝혀냈다. 일본 히로시마 대학 연구진은 유전자분석을 통해 쥐의 임신과 출산 과정을 통해 어떤 식으로 새끼의 성(性)이 결정되는지 그 과정을 밝혀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