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BI"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2-05-13 우리은하 중심부의 블랙홀을 최초 관측하다 첫 블랙홀 그림자의 관측으로부터 약 3년 뒤 한국 시각으로 2022년 5월 12일 밤 10시, 전 세계인들의 이목은 다시 한번 독일에 위치해있는 유럽남방천문대(ESO) 본부에 집중되었다. EHT 팀이 또 다른 블랙홀의 이미지를 공개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한 천체는 우리은하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 A* (Sgr A*) 블랙홀로 현재까지 인류가 관측한 블랙홀 중 가장 가까운 블랙홀이다. 기초·응용과학 정현섭 객원기자 2021-12-06 ‘초’의 재정의 가능할까? 초는 현재 국제단위계(SI)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지니는 단위이다. 초는 1967년에 세슘 원자의 고유진동수에 따라 정의되었다. 이후에는 여러 기술적 한계로 현재까지 재정의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다. 초의 재정의를 위해서는 세슘 원자시계보다 정밀도가 높은 광시계 제작 기술, 대륙 간 멀리 떨어져 있는 광시계 간 성능 비교 검증 기술, 광시계가 생성한 시각 정보를 높은 안정도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통신 인프라 기술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항공·우주 정현섭 객원기자 2019-08-12 블랙홀 관측케한 초장기선 전파 간섭계 EHT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8월 10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특별강연회를 통해 블랙홀 관측 영상 소개 및 관측기술에 대해 강연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