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 건 생명과학·의학 김민재 리포터 2024-03-20 공감하지 못하는 너, 혹시 “T야?” “너 T야?”는 MBTI 테스트에서 파생된 밈(meme: SNS 등에서 퍼져나가는 문화, 유행, 모방의 경향이 강한 창작물이나 작품의 요소를 총칭하는 용어)으로 상대방에 공감하지 않고 비위를 맞추지 않는 점을 놀릴 때 사용하는 말이다. MBTI에서 의사결정을 내릴 때나 무언가를 판단할 때 ‘사실 근거로 논리적 절차를 중요시하는지’ 혹은 ‘사람이나 주변 관계를 먼저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사고형(T)과 감정형(F)으로 나누는데, 여기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사타의 유사과학·음모론 타파 김민재 리포터 2022-07-20 인간은 4개의 알파벳만으로 설명되기 힘들다 「사타의 유사 과학 & 음모론 타파」시리즈에서는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혹은 과학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유사과학과 음모론을 살펴보려 한다. 이 글은 「사타의 유사 과학 & 음모론 타파」 시리즈 다섯 번째 시리즈로 MBTI와 혈액형 관련 유사 과학 및 음모론을 알아본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2]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임대 수익 넘어 독자 우주기술로 '우주 강국' 도약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한국광학회와 물리학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속보 뉴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함정 수중방사소음 실시간 예측기술 개발…"은밀성 확보" 아주대·서울대·美퍼듀대 공동연구팀 "고정밀 전자피부 개발"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