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에 대한 검색 결과 총 4 건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4-12-27 원거리 목표물에 달라붙는 스파이더맨 거미줄 '발사부착탄' 개발 원거리 발사부착 탄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위험을 무릅쓰고 추격하지 않아도 교통사고 뺑소니 차량이나 범죄를 저지르고 도주하는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발사하는 동시에 넓게 펼쳐져 달라붙는 접착 기술이 적용된 부착 탄을 원거리에 있는 차량을 향해 발사하면 '발사부착 탄'에 장착된 위치 기초·응용과학 김미경 리포터 2022-04-05 코로나19 후유증 치료, AI의 ‘같은 그림 찾기’로 한다! 박지환 교수와 안현수 학생을 포함한 연구팀은 인공지능(AI) 기술인 ‘머신러닝’을 통해 코로나19 감염경험자 대다수가 겪는 코로나19 후유증의 원인이 ‘자가면역반응’임을 밝혀냈다. 뿐만 아니라 후유증의 원인이 되는 후보 단백질까지 추려냄으로써 코로나19 후유증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해당 연구결과는 지난 2월 28일 생물정보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Briefings in Bioinformatics’에 게재되었다. 생명과학·의학 정수빈 리포터 2022-03-31 간단한 후각 자극만으로, 치매를 구분하다 광주과학기술원에서 간단한 후각 자극으로 치매를 구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됐다. 해당 연구는 현재 완성된 시제품을 이용해 치매 분류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고, 의료기기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를 받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단계이다. 연구 과정과 기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한다. 사타가 간다 김미경 리포터 2022-03-25 [단독인터뷰] “배운 지식은 사람들을 위해”... 코로나19 후유증 치료 연구로 이어져 지난 3월 16일, GIST(광주과학기술원) 기능유전체학 연구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코로나19 완치 후 후유증 원인을 밝혔을 뿐 아니라 치료제 개발 가능성까지 제시했다는 성과가 보도되었다. 획기적인 발견을 하는 ‘연구자’는 교수로서 그리고 학생으로서 어떤 목표를 갖고 어떤 일상을 보내고 있을까. 사이언스타임즈는 연구를 보도하기 앞서 연구의 제 1저자인 안현수 학생과 지도교수인 박지환 교수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