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구조론"에 대한 검색 결과 총 6 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12-31 Science가 선정한 2024년 10대 과학 이슈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는 연말이 되면 매년 한해를 빛낸 과학 이슈(breakthrough of the year) 10선을 선정해 발표한다.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이슈 10가지를 소개한다.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1-11-16 지구 최초 대륙, 33억 년 전에 출현했다 지구 최초의 대륙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약 7억 5000만년 더 일찍 출현했으며, 현대 대륙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바다에서 솟아올랐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또한 지구 초기에 형성된 이 대륙의 단단한 암석 덩어리는 아래에서 솟아오른 마그마 위로 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1-09-24 100년간 세상을 놀라게 한 10대 발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과학잡지 ‘사이언스 뉴스(Science News)’가 100주년을 맞아 지난 100년 동안 세상을 놀라게 한 ‘10대 과학적 업적’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반물질(Antimatter), 암흑에너지(dark energy), 판구조론(plate tectonics), 그리고 DNA의 역할(role of DNA)을 발견한 것은 예상치 못했던 결과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1-08-23 지진 예보 위한 국제 프로젝트 시작된다 현대 과학은 상세한 위성사진과 정교한 컴퓨터 모델을 사용해 태풍의 진로, 홍수 규모 및 발생 시간 등을 미리 예보할 수 있다. 또한 첨단 도플러 레이더를 사용하면 토네이도의 형성을 몇 분 전에 미리 알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지진의 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하지는 못한다. 기껏해야 위성에 의한 지각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지표면 아래의 감시기로 측정해 약 30년 이내 특정 지역에서의 높은 지진 확률을 예측할 수 있을 뿐이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9-08-02 고대 바닷물 분석해 지구 진화사 재구성 과학자들은 최근 지구 심부 맨틀을 ‘여행한’ 바닷물 방울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해 지구의 판구조가 시작된 시기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6억 년 빠른 33억 년 전에 시작됐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12-14 판구조론이 30년간 지연된 이유 현대 해군에게 있어 수온과 해류, 조류 변화 등에 대한 과학적 정보는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첨단 무기를 사용하는 해군일수록 수중 환경에 대한 정확한 예측 능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군 관계자의 판단이다. 그런 만큼 2차 대전 이후 미 해군의 군사기밀은 민간 공개가 엄격히 규제돼 왔다. 그러나 최근 과학자들에 의해 그동안 미 해군에서 어떤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어떤 내용을 군사기밀로 공개금지하고 있었는지 그 내용이 밝혀지고 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2]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임대 수익 넘어 독자 우주기술로 '우주 강국' 도약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한국광학회와 물리학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속보 뉴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함정 수중방사소음 실시간 예측기술 개발…"은밀성 확보" 아주대·서울대·美퍼듀대 공동연구팀 "고정밀 전자피부 개발"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