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3 건 생명과학·의학 권예슬 리포터 2025-03-14 아기 북극곰은 ‘엄마 껌딱지’ 어미 북극곰에게는 참으로 애석(?)하고도 귀여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새끼 북극곰이 어미 없이 머무는 시간은 5%에 불과하다는 분석 결과다. 하루 24시간 기준으로 따져보면 어미 북극곰은 자유 시간은 1시간 12분에 불과하다. 게다가 새끼들은 최대 2.5년 동안 이렇게 어미에게 의존하며 산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4-12-31 UNIST "북극 해빙 변화 1년 뒤까지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딥러닝을 이용한 북극 해빙 예측 모델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최장 1년 뒤의 북극 해빙(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얼음)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26일 UNIST에 따르면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임정호 교수팀은 1년 뒤 북극 해빙 농도를 6% 이내 오차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4-12-09 기후학자들 경고…"북극해 얼음 없는 날, 2027년에 올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 얼음(해빙)이 실질적으로 모두 녹는 첫 번째 얼음 없는 날이 2030년대에 발생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보다 훨씬 이른 2027년에 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례 없이 빠르게 녹고 있는 북극 해빙 ⓒCéline Heuzé/University of Gothenburg 제공 미국 볼더 콜로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4-12-05 건설연, 북극권 플랜트건설 위한 저온 지반 다짐 기술 개발 북극권 자원개발을 위한 지반 다짐 기술 개념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은 북극권에서 석유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플랜트 건설을 위해 지반 다짐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북극권에는 약 9조 배럴 규모의 오일이 매장돼 있으며, 특히 캐나다의 오일샌드 매장량은 전 세계 매장량의 71.6%로 하루 약 300만 환경·에너지 권예슬 리포터 2024-11-25 북극엔 나무 심으면 안 된다 기후변화는 불공평하다. 온난화는 범지구적인 현상이지만 북극해를 둘러싼 시베리아, 알래스카, 캐나다 등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뜨거워졌다. 일각에서는 이곳에 나무를 심어 북극 지역의 산림 자원을 확보하고, 기후변화에도 대비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런데 지난 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는 북극 지역에 나무를 심으면 오히려 지구 온난화를 가속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3-04-14 ‘불평등한’ 기후변화? 그 이유는 지구온난화는 전 지구적 현상이지만, 지역마다 그 정도는 다르다. 과학자들이 기후변화가 '불평등한' 원인을 찾고 있다. 세계는 지금 권예슬 리포터 2022-11-29 임계점에 다다른 북극…화재 더 잦아진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 지역의 대형 화재 발생이 잦아지고 있다.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화재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증가하여 더 화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00여 년간 지구는 꾸준히 달궈졌지만, 지구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상승한 것은 아니다. 북극해의 영향을 받는 시베리아, 알래스카, 캐나다 등의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뜨거워졌다. 북극 지역의 온난화가 유독 급속도로 진행되는 현상을 ‘북극 증폭(Arctic amplification)’이라 한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2-06-13 지구 온난화로 시베리아 툰드라가 위협받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전 세계 곳곳은 극심한 추위 혹은 끝없는 불볕더위 등의 이상 기후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해빙의 감소, 폭우 및 가뭄 등의 자연재해 등도 크게 늘고 있다. 심지어 몇몇 지구 상의 동식물들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이에 전 세계 국가들은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UNFCCC)을 설립하며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힘을 쏟고 있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2-05-20 전염병이 극지 과학 연구를 지연시킨다 미국의 국립과학재단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역시 유수의 극지 연구소 운영을 제한함과 동시에, 여러 극지 연구소에서 진행 중이던 다수의 프로젝트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연구진들은 위 결정이 지구과학에서 가장 희귀한 자원이라고 일컫는 ‘시간(time)’에 관한 얼음의 여러 연구를 제한한다고 주장했다.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1-06-09 북극 해빙, 추정치보다 2배 더 얇다 북극 해안 지역의 해빙(海氷)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최대 두 배 더 빠르게 얇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만약 해빙이 없어지면 새로 노출된 해역으로 인해 폭풍우가 해안 지역을 강타하고 해안을 침식할 수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해 지역의 환경이 급격히 변했는데, 시대에 뒤떨어진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던 셈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이 논문, 사람이 심사한 걸까?” AI가 바꾸는 과학 논문 심사의 미래 안전한 땅을 위해서는 지하수를 지켜라 일란성 쌍둥이들은 텔레파시를 주고받을까?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중 재활용 소재로 만든 건 10% 미만"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KAIST·경상대,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인 전해질 개발 농진청 "병원균 제어 환경서 돼지 사육하면 장기 이식 적합성↑" “어서와 과학 팝업은 처음이지?” 과학과 팝업이 만든 놀이문화 ‘별별잡화점’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화학硏,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유연한 열전소재 개발 속보 뉴스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KAIST, AI 이용해 자연에 없는 효소 설계 가능성 제안 美서 원자로 원조받던 나라에서…66년만에 역수출 이뤘다 "사탕수수 찌꺼기와 햇빛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수소 생산" 표준硏, 6G 저궤도 위성통신 성능 검증할 측정표준 개발 KAIST, 뇌처럼 스스로 정보 처리·학습하는 반도체 소자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