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식품"에 대한 검색 결과 총 5 건 항공·우주 권예슬 리포터 2025-04-10 우주에서 만든 된장 맛은 어떨까? 앞으로는 우주인들이 장 담그기 명인들처럼 직접 장을 담가 먹게 될지도 모른다. 미국 매사츄세츠공대(MIT) 및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의 연구진은 우주에서 ‘미소 된장’을 발효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2일 국제학술지 ‘아이사이언스(iScience)’에 실렸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기자 2021-07-15 “발효식품이 장내 미생물 다양화하고 염증 줄인다” 발효식품이 풍부한 식단은 장내 미생물군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염증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스탠포드대 의대 연구팀은 36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발효식품 또는 고섬유질 식품이 포함된 10주 식이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해 생명공학 저널 ‘셀’(Cell) 12일 자에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1-04-16 효모 ‘유전자 스위치’ 개발에 성공 일본 고베 대학과 지바 대학 공동연구팀은 인공적으로 진핵생물인 효모(yeast)의 유전자 스위치를 생성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향후 다양한 기능과 특성을 지닌 다양한 효모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새로운 유전자 스위치를 결합하면 세포 기능을 인위적으로 설계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유용한 유기 화합물을 대량으로 생산하기위해 정교하고 인위적으로 조절된 효모 세포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 기초·응용과학 김은영 객원기자 2017-08-21 "선조들의 발효과학이 식탁 위로" 선조들의 발효의 지혜를 전통주와 김치, 된장, 젓갈, 식초, 요구르트 등으로 만들어가는 전국의 장인들이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에 다 모였다. 보글보글 끓인 청국장을 한 숟가락 떠 시식을 권하는 청년을 지나면 천연 수제 요구르트를 냉장고에서 꺼내며 맛을 권하는 부스가 나온다.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2015-03-31 부엌 안으로 들어온 생물학 분자생물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인 '셀'(Cell) 지는 이번 호에서 ‘식품‧생물학(Biology of Food)’이란 제하의 특집을 통해 식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물학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집중 조명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