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파인만"에 대한 검색 결과 총 5 건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1-05-13 나노로봇 기술, 어디까지 왔나? 처음 나노로봇에 대한 이야기를 한 사람은 천재 물리학자인 리차드 파인만(Richard P. Feynman, 1918~1988)이다. 그는 1959년에 열린 ‘저기 바닥에 많은 공간이 있습니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엄청난 양의 정보가 작은 공간에 축적되는 나노로봇의 가능성을 예측한 바 있다. 그리고 62년이 지난 지금 그의 예언이 그대로 실현되고 있다. 9일 학술지 ‘ZME 사이언스(ZME Science)’에 따르면 최근 실제로 등장하고 있는 나로로봇이 사람의 머리카락 너비의 10만분의 1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상천외한 과학자들의 대결 김은영 객원기자 2020-10-05 양자역학에 상대성이론이 결합되면? 위대한 과학자에게 ‘빛’은 신이 인류에게 준 비밀을 푸는 열쇠다.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성이론을 연결하는 양자전기역학의 기틀을 마련한 폴 디랙(Paul Dirac, 1902~1984)과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 1918~1988) 또한 빛을 쫓아온 천재 물리학자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5-14 파인만 탄생 100주년… 10대 어록 1965년 노벨상을 수상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처럼 대중들로부터 관심을 불러일으킨 과학자를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그는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Feynman Lectures on Physics)’ 등 대중이 쉽게 읽을 수 있는 물리학 저서를 여러 권 저술했다. 그는 또 세간의 시선을 아랑곳하지 않는 기행으로 유명하다. 봉고 연주자로서 그의 행적과 함께 그의 흥미로운 발언과 행적들은 어렵다고 인식돼온 과학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데 크게 기여했다. 아인슈타인 이후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1-08 2018년, 기념해야 할 과학적 사건들은? 과학과 관련, 2018년은 유독 기념해야 할 일들이 많은 해다. 7일 ‘사이언스 뉴스’는 올해 꼭 기념해야 할 10대 사건을 선정했다. 100~350주년을 맞은 과학적 성취, 천재 과학자의 탄생과 죽음 등 과학사에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사건들이다. 100주년을 맞은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의 법칙’, 천재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탄생 100주년, 200주년을 맞은 헝거리 의사 젬멜바이스의 ‘손 씻기 위생법’, 150주년을 맞은 헬륨 발견, 350주년을 맞은 ‘자연발생설’ 부정실험 등 우리에게도 익숙한 과학적 업적들이 선정됐다. 세계적으로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었음에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저평가된 수학자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기초·응용과학 심재율 객원기자 2017-03-30 파인만과 나눈 대화를 녹음하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리처드 파인만을 옆 연구실에서 지켜본 젊은 과학자는 20년 뒤, 파인만과 대화한 녹음테이프를 풀어서 책을 냈다. 파인만은 즐거움을 느껴야 물리학을 할 수 있다는 교훈을 남겼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땀방울’은 사실 ‘땀 막’이었다? [광복절 특집] 대한민국 과학을 비춘 초강력 빛, 포항방사광가속기 [광복절 특집]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문헌학자가 된 'AI', 고대 라틴어 비문 해독하다 리튬 보충제가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할 수 있다? 아 스마트폰 그만해야하는데... 단국대 연구팀, 빛 이용해 뇌처럼 학습하는 AI 반도체 개발 "아빠보다 엄마 유전자가 자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더 크다" 근감소증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이야기 표준연, 레이더 스텔스 핵심기술 국내 기업 이전…국산화 성공 속보 뉴스 "데이터 드립니다 연구하세요"…과기부, 자율주행 AI 챌린지 암 표적 단백질만 알면 신약 찾아준다…AI 설계 모델 개발 온실가스인 '메탄' 먹는 세균의 대사에 '에탄'은 어떤 영향 주나 "더 빨리 많이 걸으면…1만보 이하라도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 "스페인 동굴서 5천600년 전 신석기 집단 식인행위 증거 발견" "자살 예방 치료앱, 고위험군 자살 시도 58% 감소 효과" "폐플라스틱 유래 물질 이용한 수소 저장·회수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