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화학상"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1 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2-11 AI로 생존율 100%, 뱀독 해독제 만들었다 202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새로운 뱀 해독제 후보물질을 설계하고, 그 연구 결과를 1월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3-10-06 노벨 화학상, 나노 기술에 중요한 토대를 쌓고 '씨앗을 심은' 바웬디, 브루스, 예키모프 노벨 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은 202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크기가 수 나노미터(nm, 10의 -9승 m) 크기에 불과한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양자점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교수 문지 바웬디, 컬럼비아대학교 명예교수 루이스 브루스, 나노크리스털스 테크놀로지 소속 과학자 알렉세이 예키모프 3명을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2-10-06 [2022 노벨상] 노벨 화학상 수상자 3인의 클릭 화학에 관한 연구 노벨 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은 2022년 노벨 화학상을 미국의 배리 샤플리스 교수, 덴마크의 모르덴 멜달 교수, 그리고 캐럴린 버토지 교수에게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이중 샤플리스 교수는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받는 영광을 누리며 버토지 교수는 아홉번째 여성 수상자가 되었다. 2020 노벨상 이강봉 객원기자 2020-10-08 노벨화학상, 유전자가위 개발한 두 ‘여성과학자’ 수상 7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두 사람을 202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현재 프랑스 태생인 에마뉴엘 샤르팡티에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로, 제니퍼 다우드나는 UC버클리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노벨위원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두 사람이 개발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이 생명과학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암을 비롯해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 질환을 치료할 수 길을 열어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2019 노벨상 이강봉 객원기자 2019-10-10 노벨화학상, 리튬이온전지 개척자 3명에게 9일 노벨위원회는 초기 리튬이온전지 개발에 크게 기여한 텍사스대 존 구디너프 교수, 빙햄턴대학 스탠리 휘팅엄 교수, 미에 조 대학 요시노 아키라... 기초·응용과학 김순강 객원기자 2017-08-11 "협업과 끈기로 노벨상 받았다" “천재가 아니면 과학자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생각들을 많이 갖고 있는데, 제가 학교 다닐 때 받았던 점수를 본다면 그런 생각들이 편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2012-11-06 "이스라엘 교육은 노벨상의 산실" 셰흐트만 교수는 과학자의 자세로 '호기심'과 '도전의식'을 지목했다. 젊은 과학자들에게 있어 강한 호기심은 미래 연구 성과를 좌우하는 촉매제가 된다고 말했다. 또 새로운 발견을 위해 과감히 나아갈 수 있는 '도전의식' 역시 중요한 성공 요인이라고 말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2012-10-11 노벨화학상에 레프코비츠, 코빌카 미국 듀크대 로버트 J.레프코비츠 교수와 미국 스탠퍼드 의과대 브라이언 K.코빌카 교수가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코빌카 교수는 레프코위츠 교수의 제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0일 "세포막에 존재하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작동 원리를 밝혀낸 두 사람의... 정보통신기술 김순강 객원기자 2012-05-31 글로벌 융합인재들 노벨상을 꿈꾸다 2005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로버트 H. 그럽스(Robert H. Grubbs) 교수 초청 강연회가 지난 5월 30일 경기도 분당중앙고등학교에서 열렸다. 이번 강연회는 분당중앙고 재학생들과 인근 성남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21세기 글로벌 융합인재로서 노벨상의 꿈을 심어주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기초·응용과학 김수현 객원기자 2011-12-12 '통념'을 깬 노벨상 과학자들 노벨상은 어떤 이들이 받는 걸까. 매년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 되면 신문사들은 앞 다퉈 속보로 수상자와 그의 연구업적을 기사로 낸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기사만으로는 무엇을 다룬 연구이며, 어떤 가치가 있는 연구인지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대중을 위한 강연이 지난 9일, 고등과학원에서 열렸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극심 가뭄' 강릉서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 실증 나선다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재료연, 계란흰자 활용 '단백질 발포법'으로 방열 복합소재 개발 구조·기능 더 정밀하게 모사한 인공 신장 만들었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속보 뉴스 순천향대천안병원, 유방암 표적치료 차세대 진단 기술 공동 개발 KAIST, 사람과 비슷한 체격의 하체 로봇 개발…"시속 12㎞ 주행" "개들도 겉모양 아닌 기능에 따라 물건 분류할 수 있다" M87 블랙홀 4년만 자기장 뒤집혀…"예측보다 역동적이고 복잡" "식물 기반 건강 식단, 당뇨병 위험 32%↓, 온실가스 18%↓"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美 서머타임 폐지하면 비만 260만·뇌졸중 30만명 예방 가능"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