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 걸이"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기초·응용과학 한소정 객원기자 2021-04-13 물구나무서는 토끼가 드러낸 네다리 동물의 비밀 두 개의 앞발로 물구나무를 서서 걷는 신기한 토끼가 있다. 연구자들은 유전체 연구를 통해 이 토끼들이 뒷발로 뛰지 못하는 원인으로 보이는 돌연변이를 찾아냈다. 이것이 네 발로 걷는 동물들의 발달을 설명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토끼를 통해 유전자 RORB 상의 돌연변이가 소퇴르 달포르 토끼 특유의 걸음과 연관된다는 것을 면밀히 분석했다. 같은 유전자가 쥐의 걸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던 이전의 연구들과 함께 종합하면, 네 발로 걷는 동물들의 척추 발달과 움직임의 양상에 이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땀방울’은 사실 ‘땀 막’이었다? [광복절 특집] 대한민국 과학을 비춘 초강력 빛, 포항방사광가속기 [광복절 특집]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문헌학자가 된 'AI', 고대 라틴어 비문 해독하다 리튬 보충제가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할 수 있다? 아 스마트폰 그만해야하는데... 단국대 연구팀, 빛 이용해 뇌처럼 학습하는 AI 반도체 개발 "아빠보다 엄마 유전자가 자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더 크다" 근감소증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이야기 표준연, 레이더 스텔스 핵심기술 국내 기업 이전…국산화 성공 속보 뉴스 "데이터 드립니다 연구하세요"…과기부, 자율주행 AI 챌린지 암 표적 단백질만 알면 신약 찾아준다…AI 설계 모델 개발 온실가스인 '메탄' 먹는 세균의 대사에 '에탄'은 어떤 영향 주나 "더 빨리 많이 걸으면…1만보 이하라도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 "스페인 동굴서 5천600년 전 신석기 집단 식인행위 증거 발견" "자살 예방 치료앱, 고위험군 자살 시도 58% 감소 효과" "폐플라스틱 유래 물질 이용한 수소 저장·회수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