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유전지도"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 건 기초·응용과학 김순강 객원기자 2018-12-24 유전자 분석, 과거 탐색부터 질병 예측까지 유전자 분석이 고고학, 의학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지난 8월 과학저널 네이처(Nature)는 막스플랑크진화인류연구소의 스반테 파보와 비비안 슬론 박사팀의 놀라운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연구팀은 2012년 러시아 시베리아동굴에서 발견된 뼈 화석을 DNA 염기서열로 분석했다. 그 결과, 화석의 주인이 4만년 전 사라진 네안데르탈인(Homo sapiens neanderthalensis)과 데니소바인(mo sapiens denisova) 사이에서 태어난 10대 소녀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8-06-07 신약개발 혁신할 단백질 ‘유전 지도’ 최초 제작 국제협동 연구팀이 처음으로 생물학적 핵심 구성요소인 인체 단백질의 상세한 유전 지도를 만들었다. 이에 따라 수많은 질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신약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다국적 제약사 엠에스디(MSD) 연구팀은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7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인체 혈장 ‘단백질체(proteome)’의 유전적 토대에 대한 특성을 밝히고, 약 1500개의 단백질에서 2000개 가까운 유전적 연관성을 식별해 냈다. 이전에는 연구자들이 동시에 단지 몇 개의 혈액 단백질만 측정할 수 있어 이와 관련한 정보가 적었다. 연구팀은 소마로직(SomaLogic)사가 개발한 신기술(SOMAscan)을 사용해 3300명의 혈액에서 3600개의 단백질을 측정했다. 이어 이들 개인의 DNA를 분석해 유전체의 어느 영역이 단백질 수준과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이전보다 네 배 이상의 관련 지식을 확보할 수 있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땀방울’은 사실 ‘땀 막’이었다? [광복절 특집] 대한민국 과학을 비춘 초강력 빛, 포항방사광가속기 [광복절 특집]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문헌학자가 된 'AI', 고대 라틴어 비문 해독하다 리튬 보충제가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할 수 있다? 아 스마트폰 그만해야하는데... 단국대 연구팀, 빛 이용해 뇌처럼 학습하는 AI 반도체 개발 "아빠보다 엄마 유전자가 자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더 크다" 근감소증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이야기 표준연, 레이더 스텔스 핵심기술 국내 기업 이전…국산화 성공 속보 뉴스 "데이터 드립니다 연구하세요"…과기부, 자율주행 AI 챌린지 암 표적 단백질만 알면 신약 찾아준다…AI 설계 모델 개발 온실가스인 '메탄' 먹는 세균의 대사에 '에탄'은 어떤 영향 주나 "더 빨리 많이 걸으면…1만보 이하라도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 "스페인 동굴서 5천600년 전 신석기 집단 식인행위 증거 발견" "자살 예방 치료앱, 고위험군 자살 시도 58% 감소 효과" "폐플라스틱 유래 물질 이용한 수소 저장·회수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