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왕개미"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1-05-31 기생충에 감염되면 더 오래 사는 동물 기생충이 있는 개체들은 그렇지 않은 동료 개체들보다 더 오래 사는 동물이 발견됐다. 중부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토리개미 ‘Temnothorax Nylanderi’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몸길이가 2~3㎜에 불과한 이 개미들은 도토리 안이나 나뭇가지, 혹은 숲의 바닥에 작은 군락을 형성한다. 이 개미들의 수명은 보통 2년이 채 되지 않지만, 여왕개미들은 20년까지 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감염된 개미들은 3년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젊음의 특징이 남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개미들은 처음에 밝은 노란색이었다가 점점 짙은 갈색으로 변하는데, 감염된 개미는 어린 개미처럼 노란색을 계속 유지한 것이다. 또한 감염된 개미는 어린 개미와 비슷한 신진대사율과 지질 수준을 지니고 있었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8-07-27 여왕개미와 일개미 ‘신분’, 어떻게 나뉠까 여왕개미와 일개미의 노동분업을 통제하는 분자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일개미들은 부지런하게 일을 해서 신분이 상승되는 사회이동성은 거의 없다. 많은 개미 종들의 구성원은 엄격한 계급사회에서 주어진 역할을 고수한다. 여왕개미는 알을 낳고 일개미는 새끼 양육을 포함해 온갖 뒤치닥거리를 다 하는 것이다. 미국 록펠러대 연구팀은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27일자에 발표한 새로운 연구에서 이 노동분업을 통제하는 생체 분자적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대니얼 크로나워(Daniel Kronauer) 부교수는 “우리는 어떻게 해서 여왕개미들은 알을 낳고, 일개미들은 불임이 되는지 알고 싶었다”고 말했다. 크로나워 교수팀은 인슐린 유사 펩타이드인 ILP2를 만들어내는 유전자 코딩이 생식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 수단 역할을 한다고 보고했다. 이 연구는 한 특정 계급제도가 진화하는 궤적을 조명해 준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8-05-09 흰개미에서 발견한 장수의 비밀 보통 동물계의 법칙은 자손이 많으면 수명이 짧고, 생식력이 부족하면 좀더 오래 사는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사회적 곤충, 즉 모듬살이를 하는 곤충들은 이런 법칙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동물학 연구소팀은 한 흰개미종(Macrotermes bellicosus)을 모델로 삼아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를 밝혀냈다. 이 대학 동물학자 유디트 코프(Judith Korb) 교수는 “이 종의 여왕개미는 지구상의 동물 가운데 번식 면에서 가장 성공한 종”이라고 말했다. 이 여왕개미는 매일 약 2만개의 알을 낳는데도 수명이 20년에 달한다는 것이다. 반면 이 종의 일개미들은 여왕개미와 같은 유전체를 가지고 있으나, 불임상태로서 단지 몇 달밖에 살지 못한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새의 성염색체 균형을 유지하는 미스터리가 풀리다 생성형 AI 미래, 한국형 기술자립 전략을 묻다 우울증 환자의 뇌 분석해 스트레스 저항 유전자 밝혀 "유인원도 사회적 지능 있다…마음속으로 동료 등 정보 추적" 무궁화 탄소흡수계수 개발…탄소흡수량 사철나무의 7배 콜레라의 재출현: 분쟁 지역에서 급증하는 치명적 수인성 질병 "70세 전 청력손실 시 보청기 사용하면…치매 위험 61%↓" 속보 뉴스 "체온으로 전기 만들어 기기 작동"…UNIST, 새 전지 개발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GIST 공동연구팀 "북극 해빙 가속화, 에어로졸도 영향" '얽힌 빛'으로 초정밀·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센서 첫 구현 UNIST "양자통신 기반기술에 활용 가능한 나노 광소자 개발" 발열 섬유 이용해 저전력으로 이산화탄소 포집…95% 회수 물위 달리는 소금쟁이 비밀 풀었다…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