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세포"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7 건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3-25 대식세포로 고형암까지 치료…'카엠' 면역항암제 제안 카-엠 항암제 제작 기술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면역세포의 일종인 대식세포를 이용해 고형암까지 치료할 수 있는 항암 기술을 제안했다.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팀은 인체의 말초 혈액 유래 대식세포를 이용해 항암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CAR-M'(카-엠·카 대식세포) 생산에 성공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3-07 폐암 면역항암치료 반응성 예측 혈소판 역할 규명 면역항암치료 반응성 예측 ⓒ전남대 제공 폐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혈소판 역할이 전남대 의과대학 연구팀과 화순전남대병원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5일 전남대에 따르면 의과대학 조재호 교수 연구팀과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오인재 교수 연구팀은 혈소판과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폐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육아의 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3-11-02 첫째는 엄마 뱃속에서부터 동생 대비한다 둘째 출산 여부가 고민이라면 주목. 첫째는 이미 엄마 뱃속에서부터 동생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해둔 상태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2-12-09 유전자가위로 면역세포 편집, 암 진행 멈췄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암 치료가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아직 소규모 임상 시험 수준이지만, 개인 맞춤형 암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연구진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지난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1-01-22 “면역세포 조정해 뇌 노화 되돌린다” 미국 스탠퍼드의대 신경학과 연구팀은 면역세포의 일탈과 관련된 호르몬을 억제하면 노화된 뇌를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실험 연구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 20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나이 든 실험 쥐와 인간 세포 배양에서 발견된 연구 결과가 실제 인간에게 적용될 경우, 약제를 개발해 노인의 정신 능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생명과학·의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0-11-25 코로나19 백신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 화이자와 모더나에 이어 아스트라제네카까지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한 희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화이자는 긍정적인 임상3상 중간 결과를 토대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백신 긴급 사용을 신청했으며, 모더나도 곧 신청할 전망이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0-11-23 세포는 어떻게 이동하나? 지금까지 학계에서 생각해 왔던 것과는 달리, 세포 이동에는 화학적 요인뿐 아니라 물리적 요인도 주요 요소로 작용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대(산타바바라) 데니스 몬텔(Denise Montell) 석학교수가 이끄는 생물학 및 물리학 연구팀은 생물학적 환경의 기하학이 세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물리적 공간이 세포 이동에서 수많은 흔들림(sway)을 유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조직의 기하학적 구조가 세포 이동을 유도하는 아주 작은 저항 경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생명과학·의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0-11-09 코로나19 ‘강력한’ 면역 반응 촉발 코로나19를 앓고 난 후 면역 기능이 대폭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의 면역 시스템이 신종 바이러스(SARS-CoV-2)를 명확히 기억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 기능을 대폭 증진시키고 있었다는 것. 면역체계의 이런 반응은 신종 바이러스가 또다시 침투하더라도 인체 면역 기능이 신속하고 강력하게 대처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코로나19에 대한 면역 체계가 구축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밝혀지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0-07-03 인체 구조 세포도 면역 기능 조절한다 우리 몸의 대식세포나 T세포, B세포 외에 구조를 형성하는 상피세포와 내피세포, 섬유모세포도 면역 기능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오스트리아 과학원 분자의학 연구센터(CeMM) 연구진은 구조 세포의 후성유전적 및 전사적 조절에 대한 체계적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1일 자에 보고했다. 생명과학·의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0-06-18 왜 나만 집먼지 진드기에 약할까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에겐 코로나19의 대유행이 새로운 고통이다.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집먼지 진드기에 노출되는 시간 또한 늘어났기 때문이다.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항원에는 꽃가루, 반려동물의 털이나 분비물, 곰팡이 등이 있지만, 그중 가장 많은 이들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항원은 바로 집먼지 진드기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3,500년 전 누군가는 사후세계를 위해 치즈를 준비했다?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배고플 때 포도당만 골라 인식하는 장∼뇌 회로 찾았다 사람-챗GPT 색깔 인지 비교해보니…'모방과 경험 차이 드러나" UNIST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수율 5.6배 높이는 공정 개발" 속보 뉴스 "세상을 경쟁 정글로 보는 사람에겐 비열한 리더가 똑똑해 보여"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위험할 때만 대응"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대기오염·사회 불평등·정치 불안정도 노화 가속 요인" ETR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 체험 플랫폼 공개 AI로 귀금속 성능 뛰어넘는 다원소 합금 수전해 촉매 설계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