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에 대한 검색 결과 총 7 건 기초·응용과학 심재율 객원기자 2019-12-30 땅 속에서도 눈이 내린다? 외핵에서 떨어져 나온 점토 같은 철 결정체는 내핵으로 내려가 딱딱하게 굳는다고... 신소재·신기술 이강봉 객원기자 2019-07-25 인공지능이 인류 난제를 해결? 24일 과학 전문 매체 ‘Phys.org’는 최근 사회 지도층의 인공지능에 대한 논의가 과장(hyperbole)과 공포(hysteria)를 양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식인, 철학자, 종교인 등 일부 영향력 있는 인사들이 AI를 전지전능한 존재로 설정한 후 일자리를 빼앗는 등 인류 사회를 파괴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런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07-04 식물에게는 의식이 없다? 4일 ‘가디언’ 지에 따르면 최근 식물의 의식 여부를 놓고 벌어지고 있는 논쟁이 미국 식물학자들에 의해 점화돼 영국, 독일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중이다. 주류 식물학자들이 타깃으로 삼은 것은 식물이 의식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과학자들들이다. 주변 환경에 대한 식물의 인상적 능력(impressive ability)과 관련, 감각 등의 반응 능력을 확대해석하면서 도를 넘어서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이들을 맹비난하고 있는 중이다. 김효원 객원기자 2019-05-30 유적과 유물이 땅 속에 묻힌 이유 깊은 땅속 수 많은 유적과 유물을 묻은 흙과 모래는 어디에서 왔을까. 지렁이와 낙엽, 예측할 수 없는 지구의 재난 등이 인류의 흔적을 땅으로 돌려보냈다. 생명과학·의학 심재율 객원기자 2017-12-14 아기 잡아먹은 암퇘지를 재판하는 이유 사람은 도덕적 판단에 의해서 사건과 사물을 판단한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객관적인 사실이라기 보다, 마음속에서 어떻게 인지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11-23 마음을 과학으로 규명할 수 있을까? 날카로운 비판으로 유명한 미국의 저널리스트 겸 소설가 앰브로즈 비어스 (Ambrose Gwinnett Bierce)는 1911년 출간한 그의 저서 ‘악마의 사전(The Devil's Dictionary)’에서 마음을 ‘뇌 속에 감추어진 신비한 형태의 현상’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는 또 많은 사람들이 마음을 이해하려고 헛된 시도를 하고 있다고 비꼬았다. 이런 생각은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질문 사이트 ‘쿼라(Quora)’에는 “인간 뇌가 그 자신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똑똑한 지”에 대한 질문이 올라와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풍자 언론지인 ‘디 어니언(The Onion)’에서는 ‘과학자들이 마음을 연구하는 것을 중단했다.’는 제목과 함께 지친 과학자들의 토론 모습을 상세히 보도하고 있다. 마음을 이해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10-31 "자전 속도 느려지면 지진 급증한다" 지구는 쉬지 않고 자전을 하고 있다. 그런데 가끔 그 속도가 느려질 때가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점을 감안, 지난 수십 년간 낮 시간의 변화를 추적해왔다. 그리고 1000분의 1초인 밀리세컨드(ms) 차원에서 늘어나거나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로 인한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지난 주 열린 미국 지질학회(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연례 회의에서 두 명의 지구물리학자들은 이 같은 시간의 변화가 비록 극미하지만 지진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30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미 콜로라도대 지질학자인 로저 빌햄(Bilham) 교수와 몬타나대 지질학자인 레베카 벤딕(Rebecca Bendick) 교수는 그동안 지구 자전속도 변화와 지진 발생 간의 역학관계를 추적해왔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극심 가뭄' 강릉서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 실증 나선다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재료연, 계란흰자 활용 '단백질 발포법'으로 방열 복합소재 개발 구조·기능 더 정밀하게 모사한 인공 신장 만들었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속보 뉴스 순천향대천안병원, 유방암 표적치료 차세대 진단 기술 공동 개발 KAIST, 사람과 비슷한 체격의 하체 로봇 개발…"시속 12㎞ 주행" "개들도 겉모양 아닌 기능에 따라 물건 분류할 수 있다" M87 블랙홀 4년만 자기장 뒤집혀…"예측보다 역동적이고 복잡" "식물 기반 건강 식단, 당뇨병 위험 32%↓, 온실가스 18%↓"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美 서머타임 폐지하면 비만 260만·뇌졸중 30만명 예방 가능"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