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의학 김민재 리포터 2025-10-31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파킨슨병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신경학적 질환이다. 몇몇 전문가들은 특히 첨단 기기, AI, 그리고 질병이 신체 전반에 걸쳐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현재까지의 이해를 바탕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 년 전에 파킨슨병을 감지할 수 있는 혁명의 문턱에 서 있다고 주장한다.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1 테이블·해먹 변신 뚝딱…KIST '오노봇' 로봇 디자인대회 최고상 여러 모듈로 구성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오노봇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지난 8월 국제 로봇 및 인간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학술대회(RO-MAN) 로봇디자인 대회에서 지능·인터랙션연구센터 곽소나 선임연구원, 임윤섭 책임연구원 팀이 개발한 야외 친화형 모듈형 로봇 가구 시스템 '오노봇'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10-31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 검사로 치매 발병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김희진·원홍희 삼성서울병원 교수, 서진수 연세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유전 변이 정보를 조합해 치매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 다유전자 위험 점수'(optPRS)를 개발하고 오가노이드(인공장기)를 통해 병리 현상을 검증했다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10-31 생기원, 근로자의 작업 영상 통해 근육 피로도 예측하는 AI 개발 생기원이 개발한 근활성도 추정 시스템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근로자의 작업 영상을 분석해 근육 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산업 현장에서 반복적인 동작과 무거운 하중을 다루는 작업은 작업자의 근육 피로와 근골격계 질환 위험을 높인다. 근육 부하를 측정해 피로가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1 UNIST, 세포 죽이는 신기술 개발…"피부암 치료에 활용 가능성" 광 스위칭 분자의 작동원리 개념도 ⓒ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번갈아 쬐어 세포를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빛의 파장에 따라 조립과 분해를 반복할 수 있는 광 스위치 분자인 'Mito-AZB' 분자를 개발했다. 이 분자는 세포의 미토콘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10-31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추출물 투여 후 모발 탈락 61% 줄어" 보리밥나무 ⓒ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탈모 예방과 모발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인체 적용시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산림과학원이 성인 남녀 20명을 대조군과 시험군으로 나눠 12주 동안 시행한 시험에서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의 탈락 모발 수는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0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예지형 보행자 안전 AI 서비스 ⓒ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8월부터 천안지역 교차로 4곳에서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예지(豫知)형 보행자 안전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실증 운용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기존 보행자 알림 시스템은 사람이 수동으로 검지(檢知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10-30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말기 진행암 환자의 임종 직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어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는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와 이대목동병원 김정한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2002년~2021년 수집된 진행암 환자 51만5천여명의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광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0 기후 위기에 강한 상권 AI로 찾는다…KAIST·MIT 공동 연구 KAIST 도시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도시인공지능연구소는 미국 MIT 센서블 시티 랩과 공동으로 진행한 '도시와 인공지능'(Urban AI) 연구 결과를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라이프위크 2025'(Smart Life Week 2025) 전시에서 공개했다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0 머리카락보다 가는 코일 실로 가볍고 강한 근육 옷감 대량생산 한국기계연구원 박철훈 책임연구원 연구팀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 박철훈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가볍고 강력한 근육 옷감을 연속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자동 직조기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근육 옷감 직조기는 머리카락 굵기의 4분의 1 수준인 지름 25㎛(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의 형상기억합금을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심야 노출되는 빛 밝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로봇 운영 우주정거장 목표" KAIST, 우주 연구센터 출범 원자력연, 암 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 중국 수출 사향고양이 똥 루왁커피…"지방·풍미 화합물 풍부" "노화된 뇌의 기억력 저하 되돌릴 수 있다…쥐 실험 확인" 체외 미세 칩으로 폐암 등 고형암 치료 효과 예측한다 속보 뉴스 테이블·해먹 변신 뚝딱…KIST '오노봇' 로봇 디자인대회 최고상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생기원, 근로자의 작업 영상 통해 근육 피로도 예측하는 AI 개발 UNIST, 세포 죽이는 신기술 개발…"피부암 치료에 활용 가능성"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추출물 투여 후 모발 탈락 61% 줄어"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