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9-02 ‘제로’ 음료의 경고… 아동의 성조숙증 부른다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마시는 다이어트 음료가 오히려 건강에 독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일부 아동에게서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생명과학·의학 김민재 리포터 2025-09-02 미국 암 발생의 5%, 의료 영상 방사선이 원인일 수 있다? 미국 연구에 따르면, 매년 발생하는 암의 약 5%가 CT 스캔 등 의료 영상 검사에서 나오는 방사선과 관련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복부·골반 CT는 성인에서, 머리 CT는 어린이에서 위험이 높으며, 생후 1년 미만 아기의 경우 발병 위험이 10배 증가했다. CT 스캔에 사용되는 X선은 DNA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이온화 방사선으로, 장기적으로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하지만 CT는 여전히 질병 조기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도구이므로, 불필요한 촬영을 줄이고 방사선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음파나 MRI 등 대안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권고된다.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9-02 국내 토양 미생물서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물질 발견 방선균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를 배양한 모습.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된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28일 밝혔다. 자원관은 고려대·건국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9-02 "인간 두발 보행은 엉덩뼈에 일어난 2가지 혁신적 진화 덕분" 인간이 다른 영장류와 달리 똑바로 서서 두 발로 걸을 수 있게 된 것은 골반 윗부분인 엉덩이뼈(장골·ilium)에서 일어난 두 가지의 구조적 혁신 덕분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시간과 공간에 따른 인간 골반의 진화. 인간의 두발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골반의 진화는 발달 초기 엉덩이뼈 성장판 방향이 90도 회전하고, 뼈가 형성되는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9-02 세포가 죽으면 녹색 형광도 꺼진다…실시간 추적기술 개발 세포 사멸 실시간 모니터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선욱 박사 연구팀이 세포의 사멸 과정을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형광 리포터'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세포사멸(Apoptosis)은 세포자살, 세포자멸사 등으로 불리는 현상으로 세포 형태와 내부의 생화학적 변화로 세포가 스스로 죽는 것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02 우주 속 암흑물질 후보 '액시온' 탐색 영역 넓혔다 고질량 액시온 탐색을 위한 공진기 구조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 암흑물질액시온그룹 윤성우 CI(그룹장) 연구팀은 우주 속 암흑물질 후보인 '액시온'(Axion)을 찾기 위한 실험에서 고질량 영역까지 탐색 영역을 넓혔다고 28일 밝혔다. 우주의 85%를 차지하는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02 "석유화학원료 '자일렌' 분리 효율 높인 다공성 소재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플라스틱병, 합성섬유, 방향제 등에 쓰이는 석유화학 원료 '자일렌'을 상온에서 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소재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나명수·민승규 교수팀은 한양대 에리카(ERICA) 캠퍼스 전형필 교수팀과 상온에서 물리학과 첨단기술 물리학과 첨단기술 2025-09-01 어느 여성 물리학자의 인생 다이어리 한국물리학회의 「물리학과 첨단기술」 2025년 7/8월 34권 7/8호에 게재된 '과학의 창'을 소개한다. 다목적방사광 가속기 Korea-4GSR의 현재와 향후 응용될 과학 분야의 전망에 대해 이야기한다. 생명과학·의학 김현정 리포터 2025-09-01 “잡았다, 요놈”, 모기 죽이는 새로운 ‘무기’ 등장 기록적 폭염으로 모기 활동이 줄어든 올해, 그러나 가을 모기의 급증을 앞두고 새로운 방역 무기가 등장했다. 희귀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던 '니티시논'이 모기 박멸에 놀라운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것이다. 기존 살충제에 저항성을 가진 모기들도 니티시논 앞에서는 속수무책이고, 혈액 섭취 없이도 단순 접촉만으로 살충 효과를 발휘하며, 말라리아 매개 모기뿐만 아니라 뎅기열, 지카바이러스를 옮기는 주요 모기 3종 모두에 광범위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살충제 저항성 모기 문제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9-01 에너지연·플렉셀스페이스 개발 태양전지,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CIGS-페로브스카이트 이중접합 태양전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플렉셀스페이스가 공동 개발한 우주용 태양전지가 누리호 탑재 위성에 실려 우주로 향한다. 양 기관은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깊은 바닷속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자랑스러운 우리 ‘해녀’, 바다포유류급 잠수 능력 입증돼 “잡았다, 요놈”, 모기 죽이는 새로운 ‘무기’ 등장 물위 달리는 소금쟁이 비밀 풀었다…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어느 여성 물리학자의 인생 다이어리 "체온으로 전기 만들어 기기 작동"…UNIST, 새 전지 개발 발열 섬유 이용해 저전력으로 이산화탄소 포집…95% 회수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속보 뉴스 국내 토양 미생물서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물질 발견 "인간 두발 보행은 엉덩뼈에 일어난 2가지 혁신적 진화 덕분" 세포가 죽으면 녹색 형광도 꺼진다…실시간 추적기술 개발 우주 속 암흑물질 후보 '액시온' 탐색 영역 넓혔다 "석유화학원료 '자일렌' 분리 효율 높인 다공성 소재 개발" 에너지연·플렉셀스페이스 개발 태양전지,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선박 수중청소 부산물은 복합 오염물…해양생태계 악영향"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