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 김민재 리포터 2025-05-21 영화와 TV 속 과학은 얼마나 정확할까? 할리우드 영화는 종종 오락성을 위해 현실성을 '희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 영화 제작에서 과학적 정확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영화 제작 측에서는 이를 위해 전문 과학 컨설턴트를 고용하는 추세이다. 현실 과학을 미래 가능성과 연결하는 과학 컨설턴트들의 역할과 가상의 미디어가 실제 과학 분야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알아본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5-21 사람-AI 토론 능력 비교해보니…"GPT-4가 더 설득력 있어" 인공지능(AI)이 생각을 바꾸도록 사람을 설득할 수 있을까? 챗GPT 같은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AI 챗봇이 사람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토론 능력을 이미 갖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간과 GPT-4 토론 능력 비교 실험 개요. a) 성별·연령·인종·교육·고용&mid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5-21 "생쥐, 냄새 같은 화학적 신호로 낯선 상대 서열 감지" 동물 세계에서 사회적 서열을 파악하는 것은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생쥐들은 낯선 상대를 만나면 냄새 같은 화학적 신호를 통해 상대 서열을 파악하고 행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생쥐, 냄새 같은 화학적 신호로 낯선 상대 서열 감지한다" 실험 결과 생쥐는 낯선 상대를 만나면 냄새나 페로몬 같은 휘발성(volatile) 또는 비휘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5-21 UNIST "초고속 펄스 레이저 없이도 생체 조직 깊숙이 촬영" 연구 그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고가의 초고속 펄스 레이저 대신 레이저 포인트와 같은 일반 광원으로도 생체 조직 내부를 뚜렷하게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주진명 교수팀은 특수 나노 입자를 이용해 일반 연속파(CW) 레이저만으로 생체 조직 내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5-21 부산대 연구팀,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 맞춤형 도구 개발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알고리즘 개요도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연구팀이 유전자 가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개발에 성공했다.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박정빈 교수 연구팀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김혜란 교수와 협력해 개인별 유전체 변이를 고려해 유전자 가위의 정확한 작용 위치와 잠재적 부작용 위치를 예측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5-21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심혈관 모사장치 모식도 ⓒ경희대 유정민 연구원 제공 신생아의 빠르게 뛰는 심장박동까지 재현할 수 있는 심혈관 모사 장치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박윤석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모사한 소프트 심장 밸브와 고정밀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KFRM 푸름이야기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2025-05-20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로 손상된 연골의 재생이 가능할까요? 손상된 연골 치료를 위한 첨단재생의료 기술이 등장했다. 첨단재생의료 기술은 신체 구조나 기능을 재생, 회복 또는 형성하거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인체 세포 등을 활용하는 의료 기술이다. 무릎 연골 손상의 원인부터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 치료의 희망이 되는 새로운 치료제 등에 대해 알아본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5-20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마인드 블랭킹’ 때문이다 ‘물멍’, ‘불멍’ 등 바쁜 일상 속 생각을 덜어낼 수 있는 시간을 찾는 사람이 많아졌다. 심지어 멍때리기 대회도 있다. 이런 의도적인 멍과는 다른 말 그대로 머릿속이 하얗게 되는 상태도 우리는 알게 모르게 매일 겪는다. 신경과학자들은 이를 ‘마인드 블랭킹(Mind Blanking)’이라 부른다.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5-20 "허리둘레-키 비율, BMI보다 더 정확한 심부전 위험 예측 지표" 허리둘레 측정 ⓒ연합뉴스 대표적인 비만 지표인 체질량지수(BMI)보다 복부 비만을 반영하는 허리둘레-키 비율(WtHR : Waist-to-height ratio)이 비만으로 인한 심부전 위험을 더 정확히 예측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허리둘레-키 비율(WtHR)과 심부전 위험 관계. 허리둘레-키 비율(WtHR)이 높을수록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5-20 "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호르몬' 아닌 '지방산산화' 때문" SLC25A20 유전자 발현 억제를 통해 지방산산화를 차단하면 고지방 식이에 의한 종양 촉진 효과가 억제되는 기전 요약도 ⓒ국립암센터 제공 지방산을 분해해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인 '지방산산화 대사'가 고지방 식단으로 인한 비만인의 암세포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는 16일 이 센터의 김수열 박사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 비밀은 ‘선크림’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총기 사건, 총기 흔적 ‘빛’ 즉시 검출로 완전 범죄는 없다 "생성형 AI, 자유의지 가질 조건 충족…윤리 기준 마련해야"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마인드 블랭킹’ 때문이다 "AI의 과학논문 요약 믿을 수 없어…과도한 일반화 편향 많아" 스스로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면역반응 완화 '스위치' 찾았다 나이 들수록 근육 줄어드는 이유 뇌에서 찾았다 영화와 TV 속 과학은 얼마나 정확할까? 부산대·서울대 공동연구팀, '입는 컴퓨터' 전자섬유 소재 개발 속보 뉴스 사람-AI 토론 능력 비교해보니…"GPT-4가 더 설득력 있어" "생쥐, 냄새 같은 화학적 신호로 낯선 상대 서열 감지" UNIST "초고속 펄스 레이저 없이도 생체 조직 깊숙이 촬영" 부산대 연구팀,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 맞춤형 도구 개발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허리둘레-키 비율, BMI보다 더 정확한 심부전 위험 예측 지표" "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호르몬' 아닌 '지방산산화' 때문"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