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미래 비전은 ‘기술의 미래상을 구현해 세계가 주목하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ICT 산업 발전, 디지털 뉴딜 정책 등을 고려할 때 이를 이룰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27일 온라인에서 개최한 ‘2020 4차 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에서 제이슨 솅커 더 퓨처리스트 인스티튜트 회장은 한국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이 같이 제안했다.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게 장래를 전망하는 미래학자이자 금융 예측가로 꼽히는 제이슨 솅커 회장은 경제·경영 전망 분석가 양성기관인 더 퓨처리스트 인스티튜트와 컨설팅 업체 프레스티지 이코노믹스의 대표를 맡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솅커 회장은 ‘디지털 뉴딜이 만드는 코로나 이코노믹스’라는 주제로 발표에 이어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과 대담을 나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의 비전은

제이슨 솅커 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모든 국가는 정부의 역할을 재정의해야 한다”며 “민간의 혁신 노력에 대한 지원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현재 한국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근하는 방법은 매우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ICT 산업 혁신을 촉진하려는 정책과 다양한 디지털 전환 정책이 시의적절하다”며 “정부의 역할이 사회경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장기적인 지원까지 연결된다면 한국 ICT 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4차 산업혁명 선도국’이라는 한국의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제이슨 솅커 회장은 “4차 산업혁명 하에서 한국의 정책 비전은 ‘기술의 미래상을 구현해 세계가 주목하는 나라’가 돼야 한다”며 “이를 통해 한국이 다음 단계인 미래 국가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한국에 대한 이런 전망은 나뿐만 아니라 다른 미래 학자들과의 논의에서도 동의를 얻었던 내용”이라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은 현재진행형...팬데믹으로 본격 정착
솅커 회장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팬데믹 상황에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해 본격적으로 정착하고 있다”며 “코로나19는 기존 기술을 일상 속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어 앞으로 기술의 혜택을 더 많은 사람이 누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코로나19 상황에서의 4차 산업혁명은 크게 편의성 측면과 데이터 측면에서 고찰 가능하다. 먼저 코로나19로 인해 원격근무,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이 사람들의 편의성을 충족시켜주고 있다. 또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돼 인류의 교육수준이 크게 높아지고 경제적 사회적 편익도 증가된다. 그는 “특히 전자상거래나 원격의료는 오래전부터 있던 기술이지만 팬데믹 상황에서 급격하게 고도화되면서 편의성을 높이는 필수 서비스가 됐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에서 가치를 찾아내려는 트렌드도 가속화되고 있다. 제이슨 솅커 회장은 “데이터 수집 비용이 하락하고 머신러닝과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데이터 분석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환경이 조성되면서 기업과 정부 조직 등이 데이터 분석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는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블록체인과 양자 컴퓨팅도 중요한 영역으로 언급됐다. 블록체인은 근본적으로 ‘보안이 확보된 분산화된 회계장부’인 만큼 원격근무 상황에서 더 활발하게 활용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또 그는 “양자 컴퓨팅은 향후 10년 동안 가장 중요성이 높아질 영역“이라며 ”인류가 양자 컴퓨팅을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인공지능이 다음 단계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회는 ‘인구 분산’, ‘비대면 기술’... ‘뉴뉴노멀’ 시대 대비해야
그는 코로나19 이후 기회를 인구 분산과 비대면 기술의 확산에서 찾아야 한다고 봤다. 제이슨 솅커 회장은 “일터로부터 먼 곳에 거주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며 “대도시의 인구가 소도시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기회가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미국에서는 샌프란시스코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인근 소도시로 이주하면서 새로운 경제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이미 많이 활용되고 있는 키오스크, 로봇 등 비대면 기술의 확산이 펜데믹으로 인해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는 시각을 드러냈다. 솅커 회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나면 현재인 뉴노멀 시대와 또 다른 ‘뉴뉴노멀’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예상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대담에서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의 4차 산업시대 일자리 문제에 대한 질문에 그는 “기술은 항상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왔다”고 답했다. 솅커 회장은 “현재 미국에서 트럭 운전사는 흔한 직업이지만 50년 후에는 존재하지 않는 직업이 될 것이다. 대신 일자리 이름 자체가 ‘자동운전 트럭 시스템 엔지니어’ 등으로 바뀌어 원격으로 트럭 시스템을 운영하는 직업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차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교육’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일부 일자리는 사라지지만 추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새로 생겨난 일자리로 옮겨가게 된다는 것이다.
기술, 자본, 노동이라는 경제 성장의 세 가지 축 중 기술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자본도 전 세계적으로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자본비용이 저렴해진 상황 속에서 문제는 둔화된 인구성장이다. 그는 “현재 상황에서 경제성장을 이끌기 위한 핵심 사안은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과거 미국에서 이뤄진 조사에 따르면 기술의 위협에서 높은 교육 수준을 갖추지 못한 부문의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더 크다. 솅커 회장은 “대학 졸업장만 가지고 있는 사람의 일자리는 자동화로 인해 사라질 수 있지만 석사 이상이면 일자리 보존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윤성로 위원장의 ‘청년들에 대한 조언’ 요청에 제이슨 솅커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청년실업률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만큼 젊은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젊은이들이 좌절하지 말고 미래를 위한 교육 등의 투자를 하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또 “원격 라이프스타일이 정착하고 있는 상황에서 생활비가 비싼 서울, 수도권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다른 지역에 기회가 있다면 검토해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 황지혜 객원기자
- jhhwanggo@gmail.com
- 저작권자 2020-11-3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