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감압점착제에 온도 반응성을 부여해 고온에서 쉽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감압점착제는 살짝 눌러주는 힘만으로 강한 접착력이 생겨 납땜, 나사 등의 대체 소재로서 전자 제품 결합, 패키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산품 폐기 시 접착 소재를 제거하기 어렵고, 제거하더라도 독성이 강한 용매를 써야 해 재사용할 수 있는 소재 훼손과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연구팀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특성이 바뀌는 스마트 고분자를 이용해 '열 반응성 스마트 점착제'를 개발했다.이 점착제는 상온에서 기존 상용화 제품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보였다.
반면 섭씨 80도의 고온 자극에 반응해서는 접착력이 97%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가열과 냉각을 반복했을 때도 안정적으로 접착력이 전환되는 특성이 구현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스마트 점착제의 접착 전환 특성이 분자 내·분자 간 수소 결합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제1저자인 황정욱 연구원은 "개발한 스마트 점착제를 통해 소재 재사용성을 높이고 분리수거와 재활용을 쉽게 해 친환경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왕립화학회(RSC) 재료과학 분야 학술지인 '머티리얼스 호라이즌스'(Materials Horizons)에 5월 16일 게재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민군협력진흥원, UNIST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3-06-0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