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안에 예술이 녹아들어야”

‘2011 서울예술교육 파트너데이’ 네트워크 포럼

지난 28일, 서울 남산 예술센터에서는 올해 3번째를 맡은 ‘2011 서울예술교육 파트너데이’가 열렸다.

서울문화재단과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통합문화예술교육 시연과 사례 발표를 통해 새로운 예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예술교육자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

특히 ‘서울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창조적 파트너쉽 모색’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네트워크 포럼에서는 교육에 있어 예술의 역할에 대한 포괄적인 의견들이 오고가 참가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김인숙 강서교육지원청 초등교육지원과장은 ‘학교 창의교육의 환경 변화와 새로운 파트너쉽 기회’를 주제로 발표했다.

강서교육지원청, ‘교과연계 창의예술 수업’ 진행해

▲ 김인숙 강서교육지원청 초등교육지원과장 ⓒ신규식

김 과장은 지난 10월 10일부터 8주간 관내 20개 초등학교 40개 교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2011 교과연계 창의예술 수업’을 소개했다. 이 수업은 강서교육지원청과 서울문화재단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실시한 첫 사업으로 초등 5학년 국어 수업을 연극·미술·무용 등 예술 활동으로 풀어내 어린이들이 교과 지식을 창의적이고 자유롭게 응용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기존의 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을 부분적으로 활용하거나, 시간 강사 초빙 등 일회성으로 이루어져 온 것에서 벗어나 예술 교과가 아닌 국어 교과 수업을 예술적으로 재구성하여 교과 지식을 내면화하면서 예술적인 자극과 체험이 가능하도록 이끌고 있는 것.

‘교과연계 창의예술 수업’의 경우 국어 교과 본래의 학습 목표를 유지하면서 창의 예술적 요소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 수업 목표를 제시하여 구안되었으며 서울문화재단 소속 TA(Teaching Artist)가 참여를 원하는 학교 담임교사와 함께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김 과장은 발표를 통해 “지나친 교과 지식 위주의 학교 교육활동보다 창의성과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다양한 체험 중심의 교육이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인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예술이 학교를 벗어나 지역 사회 및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교육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TEAM 교육에 있어 예술의 역할

마지막 발표를 맡은 오진이 서울문화재단 창의예술 센터장은 ‘서울의 창의예술교육 비전 나누기’라는 주제를 통해 창의성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들을 제시했다. 다음은 오진이 센터장과의 일문일답.

창의예술 센터장이 생각하는 ‘창의’란 무엇인가?

▲ 오진이 서울문화재단 창의예술 센터장 ⓒ신규식

창의란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다만 예술 경험의 단계와 창의에 이르는 길을 연관시켜 생각해 보면, 예술 경험은 관찰-사고-자료조사-질문-해석-표현의 과정을 거친다. 일련의 과정에서 평소에 겪지 못한 것을 ‘관찰’하고, 이에 궁금증을 갖고 몰입해 ‘사고’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것들을 생각해 내는 것이 ‘창의’라고 생각한다.

문화예술과 창의의 접점은 어디인가?

창의를 위해서는 새로운 경험이 필요하다. 과학, 수학 등 여러 교과들과 달리 예술은 일상적 삶에서 깨닫지 못한 새로운 2%의 부분을 표현하는 작업이다. 예술의 영역은 기존의 것과 달라야 살아남는 세계이다. 예술을 접하면서 새로운 것에 자극을 받아 보통의 것을 다르게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성이 구현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최근 STEAM 교육을 통해 교과와 예술의 융합이 이루어지려 한다. 예술은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STEAM 교육에 예술은 타 교과의 융합에 있어 도구로 사용되는 측면이 크다. 하지만 올바른 융합 교육을 위해서는 예술이 도구가 되는 ‘ART FOR EDUCATION’ 보다 ‘ART IN EDUCATION’ 의 개념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은 지식이라기보다 ‘질문’을 통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한다. 교육의 과정에서 예술 작업의 관찰, 사고, 표현의 역할 수행을 통해 전인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예술이 융합 교육에서 맡아야 할 역할이라 생각한다.

(2682)

뉴스레터 구독신청
태그(Tag)

전체 댓글 (0)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