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3-07 ⓒ ScienceTimes 태그(Tag) #MIT #금속 #미래기술 #바이오테크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 #주목할 기술 관련기사 너무 빨리 먹으면 비만 위험 증가…먹는 속도 측정 AI 개발 음식을 먹는 속도가 빠르면 비만 위험도 증가한다. 어린이가 음식을 입에 넣는 동작을 인식해 먹는 속도를 측정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이 개발돼 어린이 비만 예방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어린이 식사 습관 연구 장면. 어린이 식사 습관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아이의 식사 장면을 직접 보거나 영상을 관찰하며 음식을 입에 넣는 횟수와 시간을 KAIST, 멀티모달 인공지능 성능 높이는 학습기법 개발 KAIST 황의종 교수 연구팀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멀티모달 인공지능(AI)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학습기법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멀티모달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동시에 인식해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다만 그림과 글자가 함께 있을 때 그림에 사람의 하늘 아래 ‘같은 색’, 있다? 없다? "내가 보는 빨강이 당신이 보는 빨강과 같을까?", “하늘 아래 같은 색이 있을까?” 장미의 붉은색을 보며 우리는 모두 “빨간 장미”라고 말하지만, 그 붉은 색에 대한 경험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할까? 일상에서 한 번쯤 품어봤을 법한 의문이다. 실제로도 수 세기 동안 철학자들은 색상 UNIST, 6G 통신용 초소형 전력 관리 반도체 개발 LDO 회로의 구조 ⓒ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윤희인 교수팀이 초소형 하이브리드 전력 관리 반도체(LDO)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LDO는 메인 반도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반도체다. 아날로그 회로 기반에 디지털 회로의 장점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디지털 회로의 우수한 전압 AI 해커 vs AI 수비수, 사이버 전쟁이 시작됐다 사이버 공격이 진화하고 있다. 과거 해커들이 수개월에 걸쳐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시스템을 뚫었다면, 이제는 AI가 몇 시간 만에 최적의 공격 경로를 찾아낸다.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부터 국제 해킹조직의 390억원 편취 사건까지, 올해 한국을 강타한 대형 사이버 공격들은 모두 이런 새로운 위협의 산물이다. 문제는 이것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인공지능 과총, 18일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오픈포럼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오픈포럼 ⓒ과총 제공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1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오픈포럼'을 연다고 16일 밝혔다. 포럼에서는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연구위원, 최재식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철AI대학원 교수, 신소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략기술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장성록 박사(왼쪽 네번째) 연구팀 ⓒ전기연 제공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연)은 전기물리연구센터 장성록 박사팀이 반도체 초정밀 공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바이어스용 맞춤형 펄스 전원(Tailored Pulse Power modulator for bias)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바이어스 장치는 플라스마 안개로 흐려진 영상 선명하게 복원…KAIST, AI 기술 개발 산란 매질 너머 영상 복원 기술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뇌공학과 장무석 교수와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공동 연구팀이 움직이는 산란 매질 너머 본래의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비디오 디퓨전 기반 영상 복원 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산란 매질은 빛의 경로를 무질서 스마트팩토리 공정 바뀌어도 불량 정확히 탐지하는 AI 개발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 개념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이재길 교수 연구팀이 제조 공정이나 설비가 바뀌어도 추가 학습 없이 기존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불량을 탐지할 수 있는 '시계열 도메인 적응'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스마트팩토리(생산과정에 자동화 기술을 결합한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실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전자공학부 이가영 교수 연구팀이 외부 전원 없이 작동하는 무전력 광센서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 전원 공급 센서보다 응답도가 20배 높아 동급 기술 가운데 최고 성능을 자랑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반데르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병이 쌓이는 속도를 늦추는 식사법 강아지도 물건의 ‘용도’로 분류한다고? 개는 훌륭하다 100만년 전 중국 두개골 발견, 인류 진화 타임라인을 최소 50만년 앞당기나 Welcome back, 녹색 바다거북! 너무 빨리 먹으면 비만 위험 증가…먹는 속도 측정 AI 개발 원자력의학원, 암 진단·수술 동시 가능 이중영상 플랫폼 개발 우주청, ADEX 2025 첫 참여…우주항공관서 한국 기술 선보인다 코레일·샬롬엔지니어링, 열차 전방 장애물 감지 장치 개발 KAIST, 브랜드 상품 판매 수익으로 학생 연구 지원 스트레스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 속보 뉴스 "비만약 세마글루티드, 감량 효과 관계 없이 심장 보호" 스티로폼 용기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폐 손상 일으킨다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모유로 전달돼 아이 면역체계 교란 KAIST서 30∼31일 연구·실험실 공개…미래 핵심 분야 기술 소개 과천과학관, 유·초등생 겨울학기 정규교육과정 운영 농진청, 토양 양분 실시간 측정 센서 개발…스마트농업 가속화 한수원 "저선량방사선, 퇴행성 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