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을 품은 DNA 박막 위에 탈수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유기 용매를 뿌려 DNA 균열을 원하는 대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균열 구조 안에 친환경 온열 소재나 적외선 발광체 등을 넣어 기능성 바이오 소재를 제작해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화학과 윤동기·기계공학과 유승화 교수, 미국 코넬대 화학공학과 박순모 박사 연구팀이 DNA 박막 탈수 현상에 기반한 미세구조 균열을 제작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때 DNA 사슬 옆면이 끝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물을 포함해 더 많은 수축이 발생, 결국 DNA 사슬 방향으로 균열이 형성됐고, DNA 사슬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이 균열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기술은 생체친화적 소재인 DNA로 이뤄진 수십-수백 나노미터 박막에 DNA 사슬 방향으로 생긴 균열에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채워 넣는 공정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온라인에 실렸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4-03-29 ⓒ ScienceTimes
관련기사